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뉴스
"
P
"(으)로 총 1,059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핀 따윈 버려! ‘포스포린 반도체’ 나왔다
2015.08.14
데 성공해 ‘사이언스’ 14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포스포린의 밴드갭(bandga
p
·전자가 가질 수 없는 에너지 대역)이 0이 될 때 그래핀과 전도성이 비슷하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혔다. 그래핀은 구리보다 전류가 잘 흘러 ‘꿈의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지만 밴드갭이 없어 전류의 흐름을 ... ...
종양 발생 막는 새로운 메커니즘 찾아냈다
2015.08.12
때 각각의 단백질이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과정을 규명하고, 단백질과 효소 복합체(
p
53-HAUS
P
)의 역할과 이를 연결하는 뉴클레오린의 존재를 새롭게 알아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의 온라인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4일자에 게재됐다. ... ...
오늘 밤(13일 새벽) 하늘에서 ‘별비’ 쏟아진다
2015.08.12
펼쳐질 예정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경로에 흩뿌려진 ‘109
p
/스위프트-터틀(swift-tuttle)’ 혜성의 잔해를 지나면서 많은 유성이 지구를 향해 쏟아지는 ’유성우’ 현상이 나타난다고 10일 밝혔다. 보통 유성우는 떨어지기 시작하는 지점 부근에 있는 별자리를 따서 이름을 ... ...
[GMO 르포] 美 듀폰 파이오니어, 몬샌토 연구센터 가 보니
2015.08.07
콩, 면화, 카놀라(유채) 등이 GMO로 재배되고 있다. 연구센터도 GM 옥수수를 개발했다. ‘
P
1197AMTM’으로 불리는 품종은 해충에 저항성을 갖도록 유전자를 변형해 만들었다. 플린트 부사장은 “육종을 통해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며 “GM 기술은 해충 방지에 특히 유용하다”고 ... ...
필레가 보낸 7가지 메시지
2015.08.02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혜성 ‘67
P
/추류모프-게라시멘코’(애칭 추리) 표면에 착륙한 탐사로봇 ‘필레’가 장식했다. 필레는 지난해 11월 15일 유럽우주국(ESA)의 혜성 탐사선 ‘로제타’에 실려 추리에 무사히 착륙했지만 그늘 부분에 착륙하는 바람에 3일 만에 겨울잠에 빠졌다. 현재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
동아사이언스
l
2015.07.29
동향을 지켜보고 있다. 현재는 서울대 기술경영경제정책과정에서 공부를 하고 있다.
p
rome00@hotmail.com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8월 1일자 어린이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후성유전학이 답한다
과학동아
l
2015.07.29
요소들이 DNA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고 생각했다. 같은 해에 효모에서 전사를 억제하는 R
p
d3
p
단백질이 포유류의 탈아세틸효소와 비슷하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DNA를 감는 실패 역할을 하는 히스톤의 아세틸화가 DNA를 풀었다 감으면서 전사를 조절하는 것이 확실해졌다. 1996년 이후의 후성유전학은 ... ...
[명왕성 첫 탐사] 인류, 9년 6개월 만에 드디어 명왕성과 만났다
2015.07.15
반가량 걸리는 명왕성은 평균 표면 온도가 영하 230도다. 명왕성의 영어 이름인 ‘플루토(
P
luto)’도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춥고 어두운 행성이란 뜻으로 지었다. 플루토는 그리스신화에 등장하는 ‘저승세계의 신’ 하데스의 다른 이름이다. NASA는 명왕성을 발견한 톰보의 공로를 고려해 ... ...
암세포 자살 방법 7년만에 찾았다
2015.07.13
높아지면
P
DCD5 단백질이 동분서주하며 세포가 사멸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 반대로
P
DCD5 단백질이 없는 경우 종양이 더 심해졌다. 이 단백질을 만들 수 없는 쥐의 경우 종양이 체내에서 생겨나는 횟수가 크게 늘었으며, 위암환자들을 조사한 결과 이 단백질이 적을수록 예후가 좋지 않았다. 윤 ... ...
“저는 빛만 있으면 암세포를 부숴 버립니다”
2015.06.30
제공 연구진은 일반세포와 달리 암세포 주변에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낮은 산성도(
p
H)에만 반응해 구조가 변하는 스마트 고분자 광감작제를 제작했다. 이 물질은 암세포 속으로 들어가면 치료제와 자동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치료제에는 손상을 입히지 않고 치료제가 깊은 암 조직까지 들어갈 수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