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스페셜
"
물질
"(으)로 총 2,508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아주 짧은 시간 누구도 본적 없는 현상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연구실은 금 나노 입자가 빠르게 녹거나
물질
의 상이 변하는 과정에서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연구하고 있다. 분자 세계에서 새로운 현상을 찾아 헤매듯 초고속 회절 및 이미징 연구실의 모토는 ‘내가 잘 할 수 있는 분야를 스스로 찾고 개척하는 것’이다 ... ...
어떤 약물을 '용도변경'해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하나 봤더니
연합뉴스
l
2020.12.15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의 면역 T세포 수치가 낮아지는 것에 착안해 면역항암제 후보
물질
'GX-I7'(성분명 에피넵타킨 알파)이 코로나19 경증 환자가 중증으로 악화하거나 숨지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코로나19와 유사한 호흡기 질환 치료제도 발굴 대상이다. 한국MSD는 인플루엔자(독감) ... ...
막대한 에너지 투입해 생산하던 암모니아, 쇠구슬 굴려서 만든다
2020.12.15
하버-보슈법 대신 용기에 쇠구슬과 반응
물질
을 같이 넣고 회전시켜 부딪히는 힘으로
물질
을 합성하는 볼밀링법을 적용했다. 온도는 45도, 대기압 수준의 저압 환경으로 설정한 용기에 지름 5mm 쇠구슬과 철가루를 넣고 회전시키면서 질소기체와 수소기체를 차례로 주입한다. 빠르게 회전하는 ... ...
코로나19 백신 효과 인구 40% 이상 접종시 나타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연구원이 백신 후보
물질
을 개발하고 있다. 화이자 트위터 캡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영국과 캐나다에 이어 미국에서도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집단면역 형성 등 의미있는 변화가 언제 나타날지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14일 기준 ... ...
늘리거나 굽히면 전구가 반짝…스스로 전기 만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자가발전 소재가 연구되고 있다. 또 두 물체가 전하를 띠는 것을 이용해 서로 다른
물질
이 닿았다 떨어질 때 만다는 정전기를 이용한 연구도 활발하다. 다만 정전기는 마찰만 이용해 전기를 생산해야 해 웨어러블 기기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신축소재도 늘릴 때만 전기를 만들 수 있어 다양한 ... ...
2050년 ‘탄소중립’ 구현할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현주소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밑 지층에 저장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기술과 이산화탄소를 다른 유용한
물질
로 바꾸는 ‘포집활용(CCU)’ 기술은 탄소중립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필수 기술로 꼽힌다. 국내에서는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기술로 한 발 더 나아가 두 기술을 결합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저장(CCUS)' ... ...
[표지로 읽는 과학] 오래 가는 전기자동차 실현해 줄 단결정 양극재
동아사이언스
l
2020.12.13
충전을 하면 이 과정이 반대로 일어나 처음 상태로 돌아간다. 이때 양극을 이루는
물질
이 바로 ‘양극재’다. 양극재는 전자와 이온의 결합 속도와 용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배터리 성능에 핵심 역할을 한다. 양극재는 주원료인 망간(Mn), 코발트(Co), 니켈(Ni)의 함유량에 따라 성질이 달라진다. ... ...
코로나19 이후 히말라야 눈 더 하얗게 변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영상분석계(MODIS)’가 측정한 결과를 활용해 눈을 분석했다. 그 결과 눈 위에 쌓인 오염
물질
은 코로나19 발병 이전 대비 36ppm(100만 분의 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것이 장기적으로 주변 주민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언급했다. 히말라야의 눈은 주변 인도와 중국, 파키스탄 거주민 3억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
물질
을 발견하기까지
2020.12.10
에이버리는 그리피스의 실험을 더욱 정교하게 재현해 폐렴구균의 형질전환
물질
의 정체에 관한 결정적인 힌트를 얻었다. 그 정체는 ‘멍청한 분자(stupid molecule)’라 불렸던, 에이버리 스스로는 “분자들 중의 약자(underdog)”라 불렀던 디옥시리보핵산, 즉 DNA였다. ※참고자료 -Robin McKie, Six Nobel ... ...
코로나19 백신 믿고 맞아도 괜찮을까…알레르기 반응은 아직 임상데이터 부족해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보였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 직원으로 8일 백신을 맞은 뒤 특정
물질
에 몸이 과민반응하는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회복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 알레르기 결과 놓고 반응 엇갈려...임산부·청소년 관련 임상데이터 부족 NHS와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