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알"(으)로 총 1,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2019.06.13
- 중 하나는 1미터의 정의에 관한 것이다.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1초를 정의하려면 알아야 한다)을 모르면 1미터를 정확하게 정의할 수 없다. 미터법은 문명이다. 기초과학을 모르면 문명의 재건이 필요할 때 우리는 할 수 있는 일이 없게 된다. 미터법 하면 떠오르는 나라가 영국과 미국이다. 이 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 한다. 오스트리아 비엔나대의 심리학자 마틴 보라섹 교수는 “손가락 비교 연구는 알지 못하고 불확실한 토대에 지어진 집과 같다”며 “이런 연구가 과학을 ‘재현성 위기’에 빠뜨리고 있다”고 비난했다. 앞으로 또 어떤 손가락 비율 연구결과가 나올지 모르겠지만 필자가 이를 긍정적으로 ... ...
- 학대 겪은 아이, 성인 돼서도 폭력에 희생된다동아사이언스 l2019.06.11
- 이끈 소이어 박사과정연구원은 "아동폭력이 일어나기 쉬운 환경을 알면 그 패턴을 알 수 있다"며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해 아동학대 가능성이 있는 환경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류정희 연구위원팀은 연구보고서를 통해 "아동폭력을 겪은 부모가 자녀에게 ...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동아사이언스 l2019.06.11
- 일본과 스위스가 최고 수준인데, 로봇 개발 수준 자체는 미국이 최고 수준인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현재 의료로봇의 완성도와 안전성, 유효성, 임상 적용 등을 다 따져보면 다빈치 로봇이 최고 수준이고 실제 수술 건수도 가장 많다. 다른 업체와 비교했을 때 독보적인 기술을 갖고 있는 경우도 ... ...
- [표지로 읽는 과학] 항암·맞춤치료 혁명 가져올 '오가노이드'동아사이언스 l2019.06.09
- 암이 발생했는지 원인을 찾거나, 개별 항암제의 치료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클레버스 교수는 "최근에는 항암치료 중에 암세포와 면역세포가 서로 어떤 작용을 하는지, 어떻게 하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게 만들 수 있는지 등도 오가노이드로 연구하고 있다 ... ...
- "의사일 대신 선택한 AI 개발, 정확해서 뿌듯했다"동아사이언스 l2019.06.04
- 것 같다. 아직까지 한계점이라거나,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가 의료용 AI는 알파고 등 다른 AI와 마찬가지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해 새로운 데이터를 만났을 때 이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예측하는 역할을 한다. 아직은 개발 초기이므로 학습한 데이터에 대한 의존도가 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2019.06.04
- 현상을 보임을 확인했다. 고체헬륨-4가 초고체임을 보인 실험은 그래도 무슨 말인지 알 것 같았는데 이번 실험은 솔직히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고체헬륨-4 실험은 어떻게 됐을까. 김 교수 실험실 홈페이지를 들어가 보니 예전만큼 연구가 활발한 것 같지는 않다. 2016년 학술지 ... ...
- 에이즈 면역 위해 유전자 편집한 아기, 사망률 21% 높아동아사이언스 l2019.06.04
- 닐센 교수는 “윤리적 문제를 넘어 현재 지식으로는 돌연변이의 완전한 효과를 알지 못하는데도 이를 도입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며 “평균적으로 볼 때 돌연변이를 가진 것이 더 나빴다”고 말했다 ... ...
- "지원 끊긴 北 내년 6월 결핵약 동나…한국사회 마음으로 안아야" 동아사이언스 l2019.05.30
- 프로그램(EDET)’을 개발해 평양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다. 프로그램의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결핵 환자를 조기에 진단하면 그만큼 완치할 가능성이 크고,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위험도 낮출 수 있다. 현재 북한 내 약 700명의 환자가 이 프로그램에 등록돼 있다. 대부분 일반 결핵치료제(약제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2019.05.30
- 설명 없이 이런 말을 쓰는 이유는 현대의 교양인으로 살아가려면 이 정도 수준의 말은 알아야 한다는 암묵적인 합의가 깔려 있기 때문이다. 과학에는 그런 합의가 없다. 몇 년 전 나는 유력 일간지 기고문에 ‘쿼크(quark)’라는 단어를 썼다가 데스크에서 ‘데스킹’ 당한 적이 있었다. 쿼크는 우리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