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도"(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과학동아 l2006년 08호
- 사용해 독수리 눈으로 불렸으니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각지름 : 천체의 겉보기지름을 각도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항성의 각지름은 아무리 커도 0.05초를 넘는 일은 드물며 태양과 달의 각지름은 0.05로 가장 크다.분해능 : 멀리서 관측할 때 두 개의 별이 하나의 별처럼 보이는 것을 원래대로 두 개의 ... ...
- 2. 우리 쌀은 좋은 것이야과학동아 l2006년 08호
- “마치 과속차량을 단속하는 속도계와 같다”고 했다. 쌀을 미끄럼 태우듯 일정한 각도로 내려 보내고 끝부분에서 떨어지는 쌀의 모습을 CCD카메라 찍은 다음 불량으로 확인된 쌀은 고압배출기(air ejector)로 쏘아 분리시킨다. 야생에서 찾은 교훈1906년 권업모범장이 있었던 자리인 작물과학원의 ...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과학동아 l2006년 07호
- 서운관의 수장인 유방택이란 천문학자가 했다. A1, A2 : 12차에 해당하는 별자리 각도와 12분야에 대응하는 나라 이름을 새겼다.B, C : 해와 달에 관해 설명했다.D : 24절기별로 저녁과 새벽 정남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를 새겨 넣었다.E : 동그라미 안에 별을 새기고 선으로 이어 별자리를 나타냈다.F : ... ...
- 다이빙 선수의 우승비결은 공명?과학동아 l2006년 07호
- 용수철 상수로 표현할 수 있다. 줄에 돌을 매달아 놓은 진자(또는 그네)도 움직이는 각도가 작으면 단순조화운동을 한다. 이때 길이가ℓ인 줄의 각진동수(w)는 $\sqrt{\frac{l}{g}}$다.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9.8$m/{s}^{2}$)이다.가시광선 같은 빛에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진동하며 앞으로 진행한다. 그래서 ...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과학동아 l2006년 07호
- 밀한 매질에서 그렇지 않은 매질로 들어갈 때, 그 들어가는 각(입사각)이 어떤 특정 각도(임계각) 이상이면 그 경계면에서 빛이 전부 반사되어 버리고 만다 예를들어 빛이 유리에서 공기로 나아갈 때의 임계각은 42˚인데, 입사각이 이보다 크면 빛은 공기로 나가지 못하고 도리어 내부로 반사된다 ... ...
- 일본은 언제 가라앉을까과학동아 l2006년 07호
- 역단층이나 충상단층이 대부분이다.특히 태평양판은 일본을 지나 동해 아래로 낮은 각도로 깊숙이 들어가고 있는데, 이런 작용은 동북일본을 포함해 동해를 동서 방향으로 압축하고 있다. 지각이 바닷속으로 가라앉으려면 과거 동해가 형성되었을 때처럼 늘어나야 하는데 반대로 압축하는 힘을 ... ...
- 지구 속에 터널을 뚫어 사과를 집어넣으면?과학동아 l2006년 06호
- 그림 2). P를 꼭지점으로 하는 매우 좁은 원뿔을 그려보자. 양쪽원뿔의 끝이 이루는 각도는 같다. 이 원뿔과 껍질이 만나는 부분은 아래위로 동그란 부분이 될 것이다. P에서 먼 동그란 부분의 넓이는P에서 가까운 동그란 부분의 넓이보다 클 것이다. 정확히 말하면 점 P에서의 거리의 제곱에 비례할 ... ...
- LCD 월드컵에서는 한국이 우승과학동아 l2006년 06호
- 따라서 편광판과 배열 방향만 같고 각도가 틀어진 빛이 나오기 때문에 시청자가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에 차이가 발생한다.LG필립스는 ‘IPS’(In Plane Switching)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IPS에서는 액정 분자가 편광판에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회전한다. 액정 분자는 바람개비처럼 돌며 빛을 ... ...
- 움직이는 '붙박이별'과학동아 l2006년 06호
- 정밀하게 측정해 입증함으로써 천문학계에 공인된다.항성이 1년 동안의 움직인 각도는 초(˝)로 표시한다. 1˝는 3600분의 1도(°)로 환산하며 1°는 60분(′), 1′는 60″다. 고유운동이 가장 큰 별을 찾아라고유운동의 존재가 알려진지 약 30년이 지난 1842년, 독일 본 천문대 대장이었던 프리드리히 ... ...
- 5. 뼈와 근육 줄어드는 아수라장과학동아 l2006년 06호
- 계속 떨어지고 있다는 게 더 큰 문제다. 균형을 잡는 감각, 근육의 길이나 관절의 각도를 파악하는 감각, 진동을 느끼는 피부감각이 지구에서처럼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은 지구 중력에 영향을 받는 기능이란다. 그래서 경기가 진행될수록 선수들의 헛발질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때론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