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도"(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연이 끄는 화물선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작은 조각 날개 표면이나 동체단면에서 복잡하게 변화하는 부분에 기류에 근소한 각도를 갖게 하여 八자형으로 나란히 부착시킨 5cm 각 정도의 극히 작은 날개를 말한다영국의 기상학자 F 보퍼트가 제안한 풍력계급 풍속계가 만들어지기 이전의 것으로 연기가 똑바로 올라가는 정온상태를 0으로 하고 ... ...
- 땅 위에 떠오른 오리온자리, 피라미드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측정한 베텔기우스의 각지름은 0.044"였다. (보통 별의 겉보기 크기는 천구를 360°로 나눈 각도인 각지름으로 나타낸다. 달의 각지름은 0.5°다) 실제로 베텔기우스의 크기는 0.034"에서 0.054"까지 변한다.그럼 태양을 보듯 베텔기우스의 동그란 맨얼굴을 망원경으로 볼 수는 없을까. 보통 별은 아무리 큰 ... ...
- MEMS는 미래기술의 해결사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 거울의 측면에서 빛을 비추면 움직이는 거울의 각도에 따라 화면에 빛을 모으거나 어둡게 할 수 있다. 이 거울이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소자’(Digital Micromirror Device)다.현재 미국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사가 독점 판매하는 마이크로미러의 크기는 13.68μm인데 비해 윤 ... ...
- 한국 우주인후보, 크리스마스에 탄생하기까지과학동아 l2007년 01호
- 길이 47m, 높이 15m, 날개폭 51m의 날아다니는 우주비행실험실이다. 비행기가 이륙한 뒤 45° 각도로 상승하다가 엔진을 멈추자 갑자기 아래로 떨어졌다. 25초간 비행기 안은 국제우주정거장처럼 무중력환경이 재현됐다.처음엔 몸을 가누기도 힘들었고 롤러코스터를 탈 때처럼 소리를 질러댔다. ... ...
- 걸어 다니는 신분증, 얼굴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찍은 평면 사진을 사용했다면 3차원 인식기술은 카메라를 두 대 이상 사용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얼굴을 입체적으로 읽어낸다. 얼굴에서 변하지 않는 뼈 구조를 기반으로 수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얼굴 표정이 달라지더라도 컴퓨터가 비교적 쉽게 인식할 수 있다.현재 얼굴 인식기술은 수십만 장의 ...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측정용 광학소자 바빌로니아에서 발달한 수학 바빌로니아의 60진법과 12진법은 현재도 각도(角度) · 시제(時制) 등의 도량형법에 남아 있어 우리들이 직접 그 영향을 받고 있다 1906년 독일의 A 바세르만, M 나이서, C 부룩 등이 1901년 벨기에의 J B 보르데와 프랑스의 O 장그가 발표한 용혈계(溶血系)의 ... ...
- 문어 피부에 숨은 '3D 세포'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문어가 받은 빛을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또 연구팀은 여러 파장의 빛을 각도를 바꾸면서 이 단백질에 비추자 모든 빛을 반사했다. 예를 들어 하얀빛을 비추면 하얗게 빛나 보이고 파란빛을 비추면 푸르스름해 보였다.한론 교수는 “이 단백질은 비춘 빛에 가까운 쪽으로 자신의 색을 ...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과학동아 l2007년 01호
- X선을 이용해 데이터를 얻은 다음 컴퓨터로 재구성해서 만든 영상이다. X선을 여러 가지 각도로 인체에 투과시키면, 몸 안에 있는 장기가 밀도 차이와 상태에 따라 X선이 흡수되는 정도가 달라진다. 이런 흡수차를 검출기로 측정해 인체의 단면을 2차원 영상으로 만들어낸다. 머리에서 발끝까지 어떤 ... ...
- 2 놀라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19호
- 입체적으로 보면서 거리감을 느끼기 위해서입니다. 따로 떨어져 있는 두 눈이 서로 다른 각도로 보기 때문에 입체감을 느끼는 것이지요. 한쪽 눈을 감고 두 손가락 맞추기를 해 보세요. 입체감과 거리감이 줄어들어 맞추기 힘들다는 걸 느낄 수 있을 거예요.대뇌우리가 기억하고 생각하고, 이야기할 ... ...
- 볼록한 몸매가 맛을 좋게 해!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17호
- 지름과 똑같다면 햇볕을 고루 받을 수 없을 거예요. 허리가 볼록하기 때문에 태양의 각도에 따라 고루 햇볕을 받게 되어 내부의 온도가 적절히 유지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여러 개를 붙여 놓았을 때 아래 부분에 빈 공간이 생겨 열이 잘 전달되지요.또한 옹기의 겉에는 무수한 숨구멍이 있습니다. 이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