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시스템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이를 위해 공학에 적용되는 부품화, 표준화, 모듈화의 개념이 생물학에 도입됐고, 바로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이라는 학문이 정립됐습니다. 합성생물학에서는 DNA를 컴퓨터의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대합니다. 0과 1로 이뤄지는 이진코드(binary code) 대신, DNA를 ... ...
- [인터뷰]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입학부장 김민주과학동아 l2018년 03호
- 2교시는 풀이 과정을 보는 심화 수학·과학 문제, 3교시는 발췌문을 보고 수학과 과학의 개념을 이용해 풀이하는 문제가 나왔다. 4교시는 소설, 시 같은 글이나, 음악과 미술 작품 등 관련 제시물을 보고 이에 대한 글을 쓰는 시간으로 구성됐다. 김 입학부장은 “4교시의 경우 논술로 생각하는 ... ...
- [신학기 특별기획] 영재학교·특목고·자사고 합격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도움이 된다. 특히 자기소개서에 기재한 연구 활동과 탐구보고서의 실험 과정은 원리와 개념부터 꼼꼼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인성, 소통 능력, 논리력 등 다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면접에 임해야 한다. 자사고(전국단위) 12월 선발, 경쟁률 주춤 ... ...
- [Issue] 야식의 유혹, 도저히 뿌리치기 어렵다면 ‘착한 야식’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야식의 정의를 다르게 내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마저도 해외에서 정의한 야식의 개념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정리가 안됐습니다. 그러니, 일단 이보다 열량을 적게 섭취하는 것부터 시작하면 어떨까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하루쯤 건강식에서 벗어나 일탈하는 것은 ‘정신건강’상 좋겠죠 ... ...
- [잠깐만요!] 위태위태 눈조각 무너지지 않은 이유는?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곡면에서 가장 중요한 건 ‘얼마나 휘어있는가’인데, 수학에서는 이를 ‘곡률’이라는 개념으로 측정하지요. 곡면의 곡률은 가장 많이 휜 부분과 가장 적게 휜 부분을 찾아 각각의 곡률을 구한 뒤 이 둘의 평균을 구해서 측정해요. 극소곡면은 이 평균곡률이 0이에요. 이는 곡면 위의 모든 점에서 ...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카르다노는 3차 방정식의 일반적인 해법을 발견하고, 제곱하면 음수가 되는 수인 허수 개념을 처음 도입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2. QUAERITE LOGICAM FENESTRAM IN BIBLIOTHECA IOANNIS RYLANDS. 존 라이랜즈 도서관에서 논리 창을 찾으세요. 알파벳을 순서대로 16 글자씩 뒤로 밀어서 쓴 카이사르 암호입니 ...
- [영재교육원 탐방1]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이곳에서는 수강생에게 선행학습을 시키지 않는다. 학교교육과정에 기반한 주요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깊이 생각해볼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한다. 온라인으로 교재를 내려받은 뒤 스스로 탐구하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KAIST 학생으로 이뤄진 튜터가 학습을 지원하거나 과제에 대한 ... ...
- 논리적 사고력, 어떻게 키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않는다. 주어진 제시문에 대한 올바른 독해는 물론, 구체적 혹은 추상적 과학 원리와 개념을 통합적으로 통찰하는 시각을 키워야 해결이 가능하다. 아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아는 내용을 다른 교과목의 아는 내용과 연관 시켜서 볼 수 있는 지적 호기심을 키울 수 있어야 한다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최선을 다하는 수학동아TV! 안녕하세요! BJ맹추입니다. 두 번째 방송에서 다룰 수학 개념은 특집 기사에 등장하는 ‘대칭’입니다. 대칭은 주변에서 흔히 사용하는 말이지요. 그러나 흔할수록 눈여겨 보지 않는 법. 오늘 방송을 보면 그동안 몰랐던 대칭의 숨은 이야기가 속속 등장할 거예요! 자, 그럼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분자기계는 빛이나 열과 같은 외부 자극에 반응해 기계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새로운 개념으로 큰 관심을 모았지만, 아직까지 기술에 직접적으로 적용된 적이 없었다. 그런데 2017년 7월 ‘사이언스’에 분자기계에 대한 논문이 실렸다. 분자기계를 이용해 배터리의 저장용량을 최대 50%까지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