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다른 한 쪽은 희생돼야 하는 관계를 말한다. 미사일지침에서는 탄두중량과 사거리에 이 개념을 도입해, 탄두중량을 늘리면 사거리를 줄이고, 중량을 줄이면 사거리를 늘릴 수 있게 합의했다. 쉽게 말해 사거리에 따라 탄두중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결국 추진체의 크기와 성능은 ...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말했다. 정세영 교수는 “앞으로는 바르는 화장품에서 먹는 화장품으로 화장품의 개념이 확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가령 콜라겐은 바르는 것보다 먹었을 때 효과가 더 좋다. 이미 프랑스의 로레알과 스위스의 네슬레는 피부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을 공동 개발한 바 있다. 화장품과 약, 식품의 ...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근현대사 정치국제관계학과 교수가 이렇게 말했다. 그는 1980년대 후반 빅 히스토리 개념을 처음 만든 창시자다. 빅 히스토리는 138억 년 전 우주의 탄생부터 인류 문명의 발전까지를 종합적으로 살피는 거대한 이야기다. 물리학, 화학, 천문학, 지구과학, 사회학, 인류학, 역사학, 철학 등 여러 학문의 ...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전략적으로 먹어라! 달콤한 게임, 촘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낼 수 있어요. 종이와 펜만 있어도 OK!촘프 게임을 부분순서집합이나 약수 같은 수학 개념으로 바꿔서 즐길 수 있어요. 부분순서집합은집합에 포함된 원소 중 일부만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 집합을 말해요. 아래 두 집합을 보세요. 첫 번째 집합은 어떤 두 수를 택해도 크기를 비교할 수 있어요. ... ...
-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뜰 수 있다는 발상이 처음에는 조롱과 비난의 대상이었지만 지금은 모두가 양력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이고 있다. 과학철학자인 토마스 쿤은 고정관념 때문에 결코 바꾸기 어려운 이런 사고의 전환을 ‘패러다임(paradigm) 전환’이라고 불렀다. 서양 주류 철학의 맥을 이은 20세기 철학자이자 ... ...
-
- 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부른다. ‘n이 무한대로 가면’, ‘총합이 무한히 커지면’과 같은 표현에도 가무한의 개념이 들어있다. 하지만 가무한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자연수 집합과 자연수 제곱의 집합을 떠올려 보자. 자연수 1, 2, 3, 4…는 그 제곱인 1, 4, 9, 16…과 일대일로 짝을 지을 수 있다. 그렇다면 ... ...
-
- Part 5. 플라스틱 발자국을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플라스틱 발자국은 지난 2012년 유엔환경계획이 제안했어요. ‘탄소 발자국’과 같은 개념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에 사용된 플라스틱의 양을 꼼꼼하게 알아보자는 거예요.탄소 발자국은 상품을 만들고, 쓰고, 버리는 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의 총량이에요. 숫자가 클수록 이산화탄소 ... ...
-
- [수학공감] 수학 교육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입체도형을 만들었다. 대나무를 고무줄로 묶어 연결하며 꼭짓점과 모서리 같은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마지막으로 정이십면체 같은 입체도형을 만드는 게 목표였다. 관교여중 1학년 김세령양은 “무언가를 만드는 수업이라 다른 수업보다 재미있어요”라고 말했다. 학생들마다 만드는 속도가 ...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맞춤형 ‘오감설계’하는 시대 올 것”이 센터장은 앞으로 ‘오감설계’라는 개념을 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3D 프린팅 같은 기술로 소비자 개인이 원하는 모양의 제품을 맞춤으로 제작하듯, 앞으로는 소비자가 원하는 감성을 선택해 소재와 부품, 제품을 주문 제작하게 될 거라는 뜻이다 ... ...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보면 더 이상 흐름을 진행시킬 수 없는 ‘특이점’에 도달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이 개념을 최초로 생각해낸 해밀턴은 특이점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하지만 페렐만은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던 이 문제를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파고들었다. 그 결과 페렐만은 특이점을 잘라냈다가 다시 봉합하는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