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념
사상
이념
생각
취지
표상
의미
d라이브러리
"
개념
"(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위 아래, 좌우로 움직이는 신
개념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
본 色(색)을 드러내다
수학동아
l
2017년 08호
세밀한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색채과학자는 ‘부동소수점’이라는
개념
을 썼어요. 이는 소수점이 있는 실수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컴퓨터에서 코딩할 수 있는 공간은 정해져 있는데, 그 안에서 무한한 실수를 근사해서 나타내기 위해 쓰고 있지요. 따라서 기존 색공간에서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이 같이 주장했다. 그는 논문의 제목에서부터 “사람의 후각능력이 동물보다 떨어진다는
개념
은 19세기 미신(myth,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는 의미로 표현했다)일 뿐”이라고 꼬집었다. 브로카 박사가 주장한 대로 해부학적인 측면에만 집중한 탓에 사람의 후각을 과소평가해왔다는 것이다. 맥건 ... ...
[Info] “협력적 분위기를 만들 묘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높기 때문에 이타적 행동이 퍼져나갈 수 있다. 해밀턴은 이를 ‘포괄적합도’라는
개념
과 수식으로 설명했고, 이를 통해 ‘개체보다 집단에 유리하다면 이타적 행동이 진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던 기존의 집단선택론을 무너뜨렸다.전 교수는 이타성 외에 다른 협력도 소개했다. 협력은 크게 두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집단 내에 감염 확산을 차단하고 질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개념
이다. 집단면역의
개념
은 1840년 영국 의사 윌리엄 파가 처음 제시했다. 집단면역이라는 용어는 1923년 5월 영국의 세균학자인 W.W.C 토플레이와 G.S 윌슨이 ‘위생학 저널’에 쓴 ‘감염의 확산 집단면역의 문제’라는 논문에 처음 ... ...
[매스미디어] 본격 수학 교양방송 애프터 수-쿨!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수학 방송’이라 하면 강사가 등장해
개념
을 설명하거나 문제를 풀어주는 동영상 강의를 떠올리기 쉽다. 즉 공부할 때나 보는 방송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애프터수-쿨은 좀 다르다. ‘수학으로 노는 방송’이라고 한다. 수학을 가르쳐주는 방송도, 문제를 풀어보라고 시키는 방송도 아니다 ... ...
[수학공감] 수학을 나눠 마음을 열다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잘 집중하지 못해서 동영상 강의를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수업시간에는 기본
개념
을 실생활과 연계해 재미있게 가르치려고 노력해요. 문제 풀이는 학생들이 태블릿PC를 보며 스스로 집중해 학습하도록 하지요.” 일석이조 연계 멘토링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광릉중학교에서는 근처의 ... ...
최일규 KAIST 박사 후 연구원 일도 취미도 끝장 본다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맞히기도 하거든요.
개념
을 확실히 모르면 같은 유형의 문제라도 틀릴 수가 있기 때문에
개념
을 제대로 알고 풀었는지 따져봐야 하지요.후회하는 일 없도록 하고 싶은 걸 하세요!수학을 전공한다고 하면 어떤 사람은 제가 천재인 줄 알아요. 그런데 전혀 아니거든요. 남들보다 수학에 관해서 노력을 ... ...
어떻게 내 마음을 읽었지? 프로페서 X가 만난 아키네이터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반응에 따라 작동 원리와 강점, 약점을 추측해보도록 하지요.아키네이터의 배후,
개념
을 지배한다?아키네이터는 아직 상대방의 마음속에 있는 인물만 맞힐 수 있는 질문 더미일 뿐입니다. 그러나 아키네이터의 뒤에 있는 강력한 배후를 발견했습니다. 그 이름은 바로 컴퓨터가 모든 사람과 사물의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과거의 틀린 연구결과를 바로잡기도 한다. 어류의 속도가 대표적이다. 성실한 저자는 오
개념
의 출처가 1965년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당시 연구팀은 다랑어가 찌를 물었을 때 낚싯줄이 끌려가는 속도를 측정했는데, 순간적으로 시속 77km가 나왔던 모양이다. 하지만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