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베스트셀러 소재의 새로운 사후세계에 관한 세 가지 고찰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모아 퇴비화할 설비가 없다면 무용지물이다. 해중합을 위한 촉매가 개발돼도 플라스틱 폐기물의 오염도가 높으면 촉매의 내구도가 떨어져 상용화하기 어렵다. 과학기술만으로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뜻이다.[Results&Discussion(결론 및 토론)]이 때문에 ... ...
- 우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우주위험감시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차이가 크다. 그래서 우주위험감시센터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위성레이더 추적 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최 실장은 “레이더장비는 광학장비보다 넓은 범위를 감시할 수 있고, 시간과 날씨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며 “레이더장비는 전체적인 감시를, 광학장비는 특정 물체를 집중적으로 감시할 ... ...
- [이공계 인터뷰] 첨단산업의 출발점 반도체 엔지니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300명가량의 엔지니어가 참여하고 있다. 넓게 보면 3000여 명의 인력이 낸드플래시 개발에 투입된다. 다양한 전공의 반도체 엔지니어들이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최 TL은 “반도체 엔지니어가 되고 싶다면 전자공학과 진학을 추천한다”면서도 “워낙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만큼 ... ...
- 우리 모두 인공지능 개발자가 될 수 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많이 들어본 말이지만 대체 어떤 기술인지 알쏭달쏭한가요? 그렇다면 ‘KT AI 코딩블록’을 통해 프로그램을 직접 만들면서 체험해 봐요.잠깐! 그 전에 퀴즈를 풀면서 기초 지식을 쌓아볼까요? AI 코딩블록 퀴즈 KT AI 코딩블록 체험하기 누구나 컴퓨터만 ... ...
- [한페이지 뉴스] 순수한 물을 금속으로 바꾸는 새로운 방법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만큼 불순물이 녹아 있어야 한다. 그런데 최근 순수한 물을 금속과 같이 만드는 방법이 개발됐다. 전 세계 11개 연구기관의 15명 과학자들은 물에 알칼리 금속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금속 물’ 을 만들어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7월 2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1-03646-5 알칼리 ... ...
- 앱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다! 하인슈타인 하이드리밍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어요. 자료를 수집하며 공부하다가 좀 더 확장해서 앱을 개발해야겠다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지요. 이 앱을 통해 자신의 물건을 공유하고 교환하다 보면, 청소년의 과소비와 과시 소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Q작품을 만들며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 ...
- [특집] 고수의 조언 4 기술로 따스함까지 전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한편, 지난해 11월 미국 코넬대학교 로버트 셰퍼드 교수팀도 촉감을 느끼는 장갑을 개발했어요. 먼저, 연구팀은 빛의 세기를 감지해 구부러짐이나 늘어남, 압력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광섬유로 피부 센서를 만들어 3D 프린터로 설계한 장갑과 결합했지요. 연구에 참여한 안현석 연구원은 “이 장갑은 ... ...
- [수학체험실] 톱니바퀴가 만드는 아름다움 스피로그래프수학동아 l2021년 09호
- trochoid) 곡선을 그리는 도구입니다. 1965년 영국의 공학자 데니스 피셔가 장난감으로 개발한 뒤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스피로그래프는 크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플라스틱 고리로 구성돼 있습니다. 그리고 큰 원 모양의 고리 내부와 작은 원 모양의 고리 외부에 톱니가 있습니다. 내부에 톱니가 있는 ... ...
- [한페이지 뉴스] 단백질 구조 예측 AI 소스 모두에게 공개되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단백질의 구조를 2차원 형태로 도출한 다음 3차원 구조를 만들어 낸다. 로제타폴드 개발에 참여한 백민경 베이커랩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로제타폴드가 알파폴드2와 구별되는 점은 생성된 3차원 구조 및 다시 2차원 구조, 서열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해 최종적인 3차원 구조를 생성하는 ... ...
- 약점 극복한 재생에너지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지난해 김희탁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세계 최고 수명의 ESS용 레독스 흐름 전지를 개발했는데, 전해질로 유기물이 아닌 물을 이용해 화재 위험성을 줄인 것입니다.전기를 저장할 매체로 수소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얻은 뒤 저장탱크에 저장했다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