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코딩로봇으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5호
한 걸음’ 등 방향과 걸음 수를 알려 줘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놀이처럼, 원하는 방향과
거리
를 나타내는 카드를 뚜루뚜루에게 입력해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거예요.” 친구들은 직접 뚜루뚜루를 이동시켜 봤어요. 그때 한 친구가 손을 들어 정의석 과장님께 도움을 요청했지요. “카드를 아무리 ... ...
[가상인터뷰] 공룡, 사실 혀를 날름
거리
지 못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4호
연구진은 “입을 크게 벌리고 혀를 내밀며 울부짖는 영화 속 장면은 실제 공룡의 모습과
거리
가 있다”고 결론을 내렸단다. 알리 : 그럼 모든 공룡이 다 혀가 짧은 거야?공룡 : 아니. 새를 닮은 공룡이나 익룡은 혀의 모양이 다양했어. 왜냐하면 이러한 공룡들은 비행을 위해 앞발이 날개로 진화했기 ... ...
[실전! 반려동물] 반려견 여행 과 함께 을 떠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열사병에 걸릴 수 있지요.열사병에 걸리면 반려견은 입을 벌리고 매우 빠르게 헐떡
거리
거나, 구토를 하고 경련을 일으키는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어요. 열사병은 반려견이 죽음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인 질병이에요. 따라서 반려견이 열사병 증상을 보일 경우 바로 동물병원을 찾아야 하지요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빛의 속도로 달리면서 거울을 볼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16살 아인슈타인은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기차를 타는 상상을 했어요. 그러다 그 기차 안에서 손거울로 자신의 얼굴을 비춰보면 어떻게 될 ... 사람에겐 기차 안의 시간이 거의 멈춘 것과 같아 빛이 얼굴과 손거울 사이에 머물고,
거리
는 짧아져 얼굴과 손거울이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인답니다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수 있어 허블이나 스피처 등 우주망원경과 함께 활용해 30~300광년으로 비교적 가까운
거리
에 있는 외계행성을 탐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테스는 올해 8월 처음으로 관측 이미지를 지구로 전송했고, 9월에는 외계행성 2개를 발견했다. 이외에도 NASA는 2021년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을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1m를 재정의 했다. 크립톤-86 원자가 내는 복사선이 진공에서 299792458분의 1초 동안 진행한
거리
를 측정해 불확도를 3×10-9 수준으로 1m를 정의한 것이다. 특히 킬로그램의 경우 지금까지 단위 중에서 유일하게 인공물 표준을 사용해왔다. 바로 ‘르그랑K’로 알려진 국제킬로그램원기다. 이 원기는 188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슬라이딩을 하기도 한다. 이때 배 부분의 매끄러운 깃털이 썰매 역할을 한다. 그래서 긴
거리
를 훨씬 빠르고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다. 이외에도 천적에게 쫓길 때 꼬리깃을 떨어뜨려 유인하거나, 깃털을 깔때기처럼 모아 소리를 듣거나, 깃털을 비벼 소리를 내는 등 새들은 매우 다양하게 깃털을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구축에 유리한 지형이다. 우선 대지 표면이 평평해 깊이 들어가도 사방에서 투과하는
거리
가 비슷해 우주선 차단 효과가 높다. 암질이 석회암으로 형성됐다는 점도 실험에 유리하다. 박 책임기술원은 “석회암은 다른 암종에 비해 자연방사성 물질의 배출량이 적어 암흑물질 검출기에 잡음을 덜 ... ...
part 2. 최저가 여행, 외판원 문제로 해결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돌아오는 경로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여기서 비용은 정하기 나름입니다. 총 이동
거리
여도 되고 경비여도 되지요. 언뜻 매우 쉬운 문제처럼 보여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가졌습니다. 하지만 실상은 매우 어려워 이 문제에 뛰어든 수없이 많은 사람이 고난의 길을 걸었습니다. 수학자들이 찾은 경로 ... ...
[과학뉴스] 굿바이! 소행성 탐사선 ‘돈(Dawn)’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통해 밝혔다. 2007년 9월 발사된 돈은 11년 동안 소행성을 탐사했다. 돈이 항해한
거리
는 총 69억km다. 돈은 2011년 7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 벨트에서 두 번째로 큰 왜행성 ‘베스타(Vesta)’에 도착해 1년간 탐사 활동을 펼쳤다. 2015년부터는 소행성 벨트에서 가장 큰 왜행성 ‘세레스(Ceres)’의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