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30cm 내외다. TV는 2m가량 된다. 비율로만 따지면 30cm
거리
에서 4.5인치 화면을 보는 것과 2m
거리
에서 30인치 TV를 보는 것은 비슷하다. 여기서 스마트폰 화면이 6인치로 커지면 TV는 40인치로 대폭 커진다. 화면 크기에서 오는 체감의 차이만큼 콘텐츠 몰입도도 달라진다. 특히 유튜브 등 스마트폰으로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가능했다. 가속도계는 물체의 가속도를 측정하며 이를 이용해 운동 상태를 기록하고,
거리
와 속도를 계산한다. 기자는 1km를 평균 7분 37초에 끊으며 10km를 1시간 17분 12초의 기록으로 완주하는 데 성공했다.완주 이후 가장 걱정했던 통증 또한 안정화와 테이핑 덕분인지 견딜 만했다. 특히 1시간을 넘게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하야부사2에 특별한 항법 기술을 적용했습니다. 전파를 이용해
거리
를 측정하는 전파측정법뿐만 아니라 이미지 기반의 광학 항법을 함께 사용한 것입니다. 하야부사2에는 내장 카메라와 ‘라이다(LIDAR)’라는 레이저 고도계가 탑재돼 있습니다. 우리는 이를 이용해 다양한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사바나의 파수꾼 기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기린이 파수꾼 역할을 해주거든요. 기린은 키가 크고 시력이 좋아 4~7km나 떨어진 먼
거리
의 포식자까지 알아볼 수 있어요. 그래서 기린이 달리기 시작하면 주변에 있는 초식동물도 앞뒤 가리지 않고 도망가지요 ... ...
[수학뉴스] 아벨상 수상자가 갇힐 미로?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미로’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아르키메데스 나선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가 회전각에 비례해 커지는 소용돌이 모양입니다. 어린 고사리를 비롯해 자연에서 찾아볼 수 있는 나선이죠.문테코스 교수는 미로를 대칭적으로 만들기 위해 ‘평면의 결정군’이라 불리는 모자이크 패턴을 ... ...
[수학뉴스] 잠자리 날개 무늬, 진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닮았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형태로 만들어지도록 했지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특정 점들과 가장 가까운
거리
에 있는 영역을 다각형으로 그린 거예요. 결과를 비교해 보니 실제 잠자리 날개 무늬와 매우 비슷했답니다.곤충의 날개 무늬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아직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수학이 큰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심도카메라는 카메라와 피사체, 카메라와 배경과의
거리
를 계산할 때 쓰인다. 다양한
거리
정보를 저장해 배경 흐림 효과를 훨씬 더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다. 김 교수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카메라를 조합해 스마트폰 하나로 다양한 상황에서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된 셈”이라고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회피와 효율성 등 몇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긴 하지만 전자기파방식을 이용한 중
거리
무선 충전 기술은 현재 프로토타입이 개발될 만큼 상용화가 그리 먼 얘기가 아니다”라며 “이르면 3년쯤 뒤에는 제품이 출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체내 ‘페이스메이커’ 무선으로 충전한국전기연구원은 ... ...
Part 2. 휘황 찬란한 빛의 위협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보일 정도로 밝기 때문에 밤에 이동하는 새들이 여기에 이끌릴 수 있답니다. 먼
거리
를 이동하는 새들은 에너지를 아끼며 효율적으로 비행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런데 새가 불빛에 이끌려 도시로 가는 바람에 이동 경로가 길어지면 에너지를 낭비해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커진답니다 ... ...
Part 1. 세계는 지금 우주 요격 기술 경쟁 중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사용한 위성요격 미사일(DN-2)을 개량한 DN-3를 시험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DN-3는 중
거리
탄도미사일을 중간단계에서 요격했으며, 위성 요격도 가능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에서도 2008년 공군이 3단계로 구성된 우주전력체계 구축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적 위성을 요격하기 위한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