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찬가지"(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가 간다!] 반짝반짝 금모래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일종인 화강암 속에 얼룩덜룩 진한 알갱이가 보이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란다. 마찬가지로 맑은 용액을 담은 시험관을 얼음물에서 식히면 미지근한 물에서 식힐 때보다 금모래 입자가 작게 만들어지는 걸 확인할 수 있어. 작은 금모래 입자는 바닥에 천천히 가라앉기 때문에 시험관은 금빛을 내는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장마를 매실이 익을 무렵 시작되는 비라는 뜻인 ‘매우(梅雨)’라고 부른답니다.장마와 마찬가지로 한자와 우리말이 합쳐져 생긴 단어는 제법 많아요.우리가 밥 먹을 때 쓰는 젓가락도 젓가락을 뜻하는 한자인 ‘저(箸)’와, 가늘고 긴 모양을 뜻하는 우리말인 ‘가락’에 사이시옷이 더해져 ... ...
- 풍선으로 띄우고, 우주로 보내고~ 새로운 인터넷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인터넷 기지인 ‘룬(풍선)’이랍니다.프로젝트 룬은 2013년 초에 시작됐어요. 아퀼라와 마찬가지로, 무선 인터넷 공유기 역할을 할 수 있는 기기를 공중에 띄워 통신망이 설치되지 않은 오지나 개발도상국 주민들에게 싸고 빠른 인터넷을 지원하기 위해서죠.룬은 드론을 쓰는 아퀼라와 달리, 헬륨을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식물 플랑크톤은 지금까지 약 5000종이 알려져 있는데, 몸속에 엽록체가 있어 육상 식물과 마찬가지로 햇빛을 받아 물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만드는 생산자의 역할을 하지요. 식물 플랑크톤은 바닷물 1L에 100만 마리가 들어 있을 정도로 양이 어마어마해요. 대표적으로 규조류나 ... ...
- 도시의 매미 소리가 요란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식물이 개화하면서 곤충들도 비슷하게 나타나지요. 그래서 연구팀은 매미도 다른 곤충과 마찬가지로 식물의 개화시기와 비슷하게 남쪽 지역에서 먼저 출현한 뒤, 점점 북쪽으로 올라올 거라고 예상했어요. 그런데 이번 관찰결과는 기존의 예상을 완전히 뒤엎는 일이었어요.말매미의 출현이 가장 ... ...
- [교과연계수업] 팔방미인! 드론 파헤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스페리 매신저’가 개발됐어요. 미국 육군에서 개발한 이 드론은 현재의 드론과 마찬가지로 무선 전파를 이용해 조종하는 방식이었지요. 이후 1939년에 시작된 제2차 세계대전에서 처음으로 무선조종 드론이 대량생산됐어요. ‘라디오플래인 OQ’라는 이름의 이 드론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무려 ... ...
- 드론 미래를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쓰고 고개를 왼쪽으로 돌리면 키넥트처럼 적외선을 이용해 위치 변화를 알아내요. 마찬가지로 위치 정보가 컴퓨터를 거쳐 드론에 달린 카메라에 전송돼 카메라 렌즈의 방향이 바뀐답니다.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제어공학연구실 김재승 연구원은 “매일 연구실 안에 있는 시간이 많아 답답하고 ... ...
- 고릴라 VS 오랑우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곤충이나 새알을 먹기도 해요.오랑우탄은 고릴라만큼 사람과 가깝지는 않지만, 고릴라와 마찬가지로 ‘사람과 유인원’으로 분류돼요. 야생에 사는 오랑우탄은 사람들이 함부로 잡아들이고 서식지를 파괴하는 바람에 수가 줄어들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됐답니다 ... ...
- 평생 달력 하나로 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없애기 위해 주기적으로 더하는 날인 ‘윤일’은 6월 30일 다음에 덧붙였다. 이 날도 마찬가지로 요일이 없다. 1954년 7월, 국제연합경제사회이사회에서 세계력 사용 안건에 대해 60개 회원국의 의견을 수렴했다. 하지만 세계력을 쓰면 요일이 없는 날 때문에 일주일이 8일이 되는 경우가 생겨 여러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곱하는 건 쉽지만 90478115를 두 소인수로 분해하는 데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컴퓨터도 마찬가지다. 다항 시간 안에 소인수를 풀 수 있는 알고리듬이 없는 현재로서는, 컴퓨터에게도 난공불락의 문제다. 이 원리를 보안에 이용해 쉽게 풀리지 않는 암호를 만든게 현재 우리가 쓰는 암호체계(RSA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