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닮은 로봇 총출동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예가 국내 벤처기업이 만든 대형 휴머노이드 ‘아이지보이’다. 신장 1
백
70cm에 체중 2
백
kg의 이 로봇은 직립보행은 물론 온갖 인간 행동을 거뜬이 따라한다. 또 국내에선 처음 일본 후지쯔의 휴머노이드 ‘HOAP-2’가 공개됐다. 비록 아이지보이에 비해 크기는 훨씬 작지만 물구나무서기나 스모,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황도처럼 고정돼 있지 않고 황도를 중심으로 다소의 편차를 그리면서 움직이고 있다. 이
백
도 주변에는 여러 밝은 별들이 있어 이 별들 앞으로 달이 지나가면 달에 의해 별이 가려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것이 바로 성식이다.달이 밝은 만큼, 어두운 별이 가려지는 현상은 그리 주목받지 못한다. ... ...
늦었지만 최근 도약하는 우리나라 항공 개발사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전투기사업(KFP)이 추진이 결정되면서다. 1992년부터 진행된 KFP사업으로 F-16 전투기 1
백
8대를 기술 도입해 생산했다. 이 과정에서 제트 엔진과 기체 관련 기술 일부를 이전 받게 됐다.같은 시기 독자적인 설계에 의한 항공기 개발도 진행됐는데, 1991년 11월 프로펠러를 단 5인승 경비행기 ‘창공91’이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시력이 좋다. 새 중 가장 민첩한 매는 그들이 좋아하는 먹이인 10cm 정도 되는 들쥐를 1천9
백
m 거리에서도 정확히 보고 잡아먹을 수 있다.대부분의 포유동물들은 땅위로, 숲이나 땅속으로 다니기 때문에 시각보다는 후각이나 청각이 잘 발달돼 있다. 예를 들어 개들은 이동할 때 항시 전봇대나 큰 ... ...
자크루즈리의 해양건축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오세아노폴리스는 그의 대표작.그가 얼마전 한국을 찾았다. 인천 송도에 건설될 3천2
백
톤 규모의 대형 아쿠아리움의 설계를 맡게 된 것. 루즈리는 3일간 한국에 머물면서 코엑스 아쿠아리움과 공사 예정지를 방문한데 이어 ‘바다에 살기’라는 주제로 특별 강연회를 열었다. 방한 중에도 그는 ... ...
공기·물·땅, 어느 것이 좋은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이 공기나 땅에 비해 크다는 점도 효율을 높여주는 이유다. 물의 열용량은 공기의 3천4
백
32배, 흙의 1.9배다. 물은 가장 효율 높은 열펌프 열원인 것이다.땅 가장 안정한 열원이지만 설비가 고비용땅 속 온도는 1년 내내 변동폭이 매우 작다. 일반적으로 10m 깊이 아래부터는 거의 일정한 온도로 ... ...
비행기 1
백
년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1903년 12월 17일 윌버 라이트와 오빌 라이트는 차가운 바람이 불어오는 미국 키티호크 해변에서 목숨을 건 일생일대의 도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몇명의 ... 어떠한 모습으로 발전해 나갈 것인지 예측하기가 쉽지 않은 까닭이다. 다가올 새로운 1
백
년 동안 써나갈 비행기의 역사를 기대해보자 ... ...
2 침팬지도 문장 만들 줄 안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수화로만 이야기했다. 워슈는 보상을 받거나 모방하는 방법으로 수화를 배웠고 마침내 1
백
가지 수화를 할 수 있을 만큼 유창해졌다. 심지어 짖는 소리만 듣고도 개를 지칭하는 손짓을 할 수 있을 정도였다.또한 연구자들은 아기 침팬지 루리스를 워슈에게 입양시킨 후 5년 동안 루리스 앞에서는 ... ...
2 소음 제로, 바퀴 없이 떠간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수년간 기술적 검증과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한편 영국은 1984년 버밍햄 공항내 6
백
m 셔틀노선을 흡인식 자기부상열차로 설치했다. 이 자기부상열차는 공항과 인근 지하철역간에 승객편의용 무료셔틀노선으로 활용하다가, 1996년 도시계획으로 철거됐다.무거운 열차가 뜨는 비법오늘날 세계적으로 ... ...
기능성 쌀 등장으로 다시 주목 받는 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산소의 양은 1천6
백
만t이다. 5천8
백
만명의 사람이 1년간 숨쉴 양이다. 남한의 인구 4천6
백
만이 실컷 마시고도 남는다. 그뿐 아니다. 논의 홍수조절 능력은 물 23억t으로 국내 6개 홍수조절용댐 용량의 1.5배다. 논밑의 지하수 함량도 1
백
58억t으로 국민연간 수돗물 사용량의 2.7배다.쌀소비량이 줄고 농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