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2003년 가장 '쿨'한 발명품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수륙양용 자동차영국 깁스 아쿠아다사가 개발한 것으로 지상에서는 일반 자동차로 달리다가 물에 들어갈 때 버튼을 누르면 12초만에 바퀴가 차체 안으로 들어가면서 보트 ... 다음 배터리로 전류를 흘려주면 디스코텍에서처럼 가방이나 옷이 스스로 빛을 낸다.1m당 약 3
백
달러 _ www.luminex ... ...
공기·물·땅, 어느 것이 좋은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이 공기나 땅에 비해 크다는 점도 효율을 높여주는 이유다. 물의 열용량은 공기의 3천4
백
32배, 흙의 1.9배다. 물은 가장 효율 높은 열펌프 열원인 것이다.땅 가장 안정한 열원이지만 설비가 고비용땅 속 온도는 1년 내내 변동폭이 매우 작다. 일반적으로 10m 깊이 아래부터는 거의 일정한 온도로 ... ...
엘니뇨, 화산재가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결론 내리기에 너무 짧은 기간이다.연구자들은 좀더 풍부한 자료를 얻기 위해 지난 4
백
년간 기록된 기상 관련 데이터, 즉 빙하, 산호초, 나이테를 조사해 엘니뇨가 일어난 시기를 추정했다. 그리고 이 기간동안 있었던 화산폭발 기록을 서로 대조했다. 이 결과 화산폭발이 있고 나서 두번 중 한번꼴로 ... ...
비행기 1
백
년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1903년 12월 17일 윌버 라이트와 오빌 라이트는 차가운 바람이 불어오는 미국 키티호크 해변에서 목숨을 건 일생일대의 도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몇명의 ... 어떠한 모습으로 발전해 나갈 것인지 예측하기가 쉽지 않은 까닭이다. 다가올 새로운 1
백
년 동안 써나갈 비행기의 역사를 기대해보자 ... ...
1 제인구달 인간과 동물의 경계 허물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의미다.구달 박사는 전세계를 돌아다니며 강연을 통해 이런 희망을 전달한다. 1년에 3
백
일 이상을 외국에서 보내기 때문에 본거지가 ‘비행기’라고 대답할 정도다. 왕복표를 끊지 않고 다니다보니 구달 박사를 모르는 공항 직원이 테러리스트로 오해한 적도 있다고 한다.11일 오후 서울대 ... ...
국산 고속전철 3
백
km 돌파하자 박수·환호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함께 환호성을 질렀다. 이날 한국형 고속전철이 거둔 최고속도는 시속 3
백
2km였다.시속 3
백
km로 달리는 동안에 철로 바로 옆에 서있는 전신주는 도저히 그 형체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바람처럼 차창을 스쳐간다. 철로 근처의 시골집도 나타났다가 순식간에 사라진다. 그러나 시선을 멀리하자 늦가을 ... ...
2 소음 제로, 바퀴 없이 떠간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수년간 기술적 검증과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한편 영국은 1984년 버밍햄 공항내 6
백
m 셔틀노선을 흡인식 자기부상열차로 설치했다. 이 자기부상열차는 공항과 인근 지하철역간에 승객편의용 무료셔틀노선으로 활용하다가, 1996년 도시계획으로 철거됐다.무거운 열차가 뜨는 비법오늘날 세계적으로 ... ...
모자 미라에 바쳐진 흰 국화꽃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나온 옷이 36벌입니다. 남아있는 공간을 채운 옷이나 천 조각을 다 합치면 무려 2
백
8종의 직물이 나왔죠. 임진왜란 이전 조선전기의 복식사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입니다.” 미라 염습의 해포작업을 맡았던 이 학예사는 모자 미라의 염습과정을 자세히 설명해줬다.이 학예사와 헤어진 뒤 기자는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맞춰 보일러 작동. 집에 도착한 동글씨 앞에서 아내는 화사하게 웃는다.이것 역시 수
백
년 뒤에 벌어질 공상속의 얘기가 결코 아니다. 현재도 휴대폰을 통해 집안의 가전제품을 켜고 끄거나 보일러의 온도를 조절하는 원격 제어기술이 나와있다. 또 외부인이 대문 초인종을 눌렀을 때 원격지에서 ... ...
광통신 세계적 개척자
백
운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아니라 우주생명체를 찾고 있지요. 그를 닮고 싶습니다. 평생 연구하고 싶어요.”
백
교수는 일선에서 물러난 지금도 연구와 강의를 계속하고 있다. 이미 최고의 성취를 했지만 그것이 인생의 목적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의 목표는 한평생 연구를 하는 것이다. 공학자로서 평생을 살아가겠다며 의지를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