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공기
뱅기
날틀
AIRCRAFRT
비행사
선박
우주선
d라이브러리
"
비행기
"(으)로 총 1,783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지개 소녀의 아주 특별한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우리가 물방울이 떠 있는 공기 중보다 낮은 곳에 있기 때문이야. 높은 산에 올라가거나
비행기
를 타고 보면 원에 가까운 동그란 무지개를 볼 수 있단다.무지개 색깔의 비밀은 뭘까?무지개의 일곱 빛깔 전부가 동시에 나타나는 것은 대단히 드문 일이야. 어느 색이 나타나기 쉬운가는 물방울의 크기에 ... ...
동화처럼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아인슈타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첫 발명품은 브라운운동을 연구하면서 만든 작은 측정기였어. 그리고 독창적인 모양의
비행기
날개를 설계하기도 하고 회전 나침반도 만들어 냈단다.나침반이요?응. 내가 어렸을 때 아버지는 나침반을 사 주셨지. 나침반이 언제나 같은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게 내 눈에는 무척 신기하게 보였단다. ... ...
2005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전 시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아바타와 실제 인간의 관계를 정교하게 다룬 ‘아바타 학교’(아동문학)의 정재은씨,
비행기
설계 과학자의 비행담을 다룬 ‘하늘을 날던 날’(논픽션)의 김상돈씨, 인간의 지식과 감정을 데이터화해서 저장하는 상황을 설정한 ‘Hu*man’(시나리오 시놉시스)의 안혜정씨도 상을 받았다. ... ...
미로 왕국의 공주 '이기리 저기리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각각의 그림 방에 있는 그림을 끝말잇기로 이어 나가면 출구를 찾을 수 있다. 우비→
비행기
→기러기→기차→차표→표주박→박수→수박→박쥐→쥐며느리→리본 ☞세 번째 문제의 정답각각의 시계는 2시→1시→12시→5시→7시로 일정하게 나열되어 있는 것이다.따라서 마지막 시계는 5시를 ... ...
금성의 베일 벗길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날개에 장착(裝着)하여 이착륙시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양력계수를 증가시키는 장치
비행기
가 이륙 또는 착륙할 때 속도가 크면 단순히 조종만 곤란한 것이 아니라 긴 활주로를 필요로 하며, 길이가 한정된 활주로로는 위험이 따른다 핵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입자에 큰 운동 에너지를 주는 장치 ... ...
세상의 모든 아픔 치유할 '약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오 교수는 어려서부터 손재주 면에서는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였다고. 중학교 때는 모형
비행기
동호회 ‘푸른날개회’ 회장까지 맡았다.“만드는 걸 좋아해서 이웃집들 라디오는 모조리 내 손을 한번씩은 거쳤어요. 수리는 물론이고 라디오를 직접 조립하기도 했죠. 나중에 은퇴하면 내 손으로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돌아오는 날 그는 펭귄 인형 하나를 사들고 왔다. 오랜 비행에 지친 몸을 이끌고
비행기
트랩을 터덜터덜 내려왔을 때 그를 처음 반긴 것은 바로 펭귄이었다. 언제나 그래왔다는 듯 낯선 외지인의 방문을 그저 물끄러미 바라보는 설원에서의 첫 인사. 지금도 펭귄을 볼 때마다 마음은 수만리 떨어진 ... ...
하늘을 향한 인류의 도전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우주비행선에 대한 사진과 자료가 풍부하다. 특히 ‘비행 갤러리’는 사진을 보면서
비행기
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게 구성돼 있다. 사이버 항공박물관 www.greatsky.co.kr우주선이 날고 있지만 사람이 하늘로 올라간 지는 이제 겨우 200년 남짓. 이 사이트는 항공평론가로 활동하는 이태원 씨가 ... ...
펭귄의 똥은 얼마나 날아갈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올해 이그노벨상 시상식은 10월 6일 MIT에서 열렸으며 시상식 끝에는 연례 행사인 종이
비행기
날리기가 이어졌다.|' 이그(Ig)노벨상’이란 | ‘품위없는’(Ignoble)이란 단어의 첫 두 글자를 노벨상과 합성한 말. 미국 하버드대의 과학잡지(AIR)가 과학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1991년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재해로부터 더 안전하게 해 주었다.최근에는 위치정보를 담은 전파를 발사하여 선박이나
비행기
심지어 개인의 위치까지도 알려 주는 GPS위성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또한 고음질, 고화질의 방송을 즐길 수 있어‘손 안의 TV ’라고 부르는 위성 DMB(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기술도 주목받고 있다.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