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물"(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주둥이 끝은 돼지와 유사한 들창코다. 아마도 재밌게 생긴 코를 이용해 흙을 파헤치며 식물의 뿌리나 덩이줄기를 찾아 먹었을 것이다.오르니토수쿠스과와 아에토사우루스류 또한 오늘날의 악어처럼 온 몸이 골편으로 덮여 있었다. 하지만 차이가 있다면 이들 원시 악어의 골편은 서로 포개져 있다는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어가게 해주면 안되겠느냐.” “우리 회사 회장님은 지금 3년째 뇌의 30%만 남은 채로 식물인간 상태로 있는데 그럴 바에야 저 두 사람의 덩어리에 뇌를 연결해서 제대로 움직이게 해주면 어떻겠느냐.” “우리 아버지께서 알츠하이머로 점점 뇌가 망가지고 있는데 남아 있는 부분만 잘 떼어내서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애완동물 통역사 ‘ 도그 마리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도그 마리야’의 연구실을 찾아간 썰렁홈즈. 그런데 문을 열자마자 온갖 식물들이 마구 엉켜 있는 미로정원이 나타나는 게 아닌가! 이 정원을 어떻게 지나나 고민하던 그때! 비둘기가 날아와 썰렁홈즈에게 도그 마리야의 편지를 건네 주었다.‘여기 미로정원의 지도가 있다. 그런데 이걸 어쩌나~. ... ...
- 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과학자들에게 동물실험 대신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답니다.*표피 : 동물이나 식물의 표면을 덮는 세포층.*각막 : 눈 앞쪽에 있는 투명하고 혈관이 없는 조직.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공헌 실험동물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Part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가라앉아 휴면기를 보낸다. 초겨울(11월 말~1월)에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바위나 식물에 달라붙어 그 자리에서 번데기까지 자란다.중요한 점은 먹파리가 알에서 깨어날 때 딱딱한 물체를 찾아 달라붙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차에 번데기가 붙으려면, 늦어도 1989년 1월경에는 차가 물에 빠져있는 ... ...
- [헷갈린 과학] 꿀 VS 조청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그러면서 끈적한 액체가 되죠. 그게 바로 우리가 먹는 벌꿀이랍니다. 벌이 어떤 식물의 단물을 얻었는지에 따라 아카시아꿀, 밤꿀, 메밀꿀 등으로 나뉘지요. 꿀은 설탕과 달리 단백질, 비타민 C, 비타민 B 복합체를 포함하고 있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피로 회복을 돕는답니다.그런데 꿀벌은 한 ...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있지만 아직까지는 걸음마 단계다(커피는 실험실에서 조직 배양이 어렵기로 악명 높은 식물이다). 최근에 각광받는 유전자 가위 기술이 발전하면 언젠가는 맛있는 디카페인 커피를 마실 수 있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이족 보행 초식공룡들은 풀을 먹을 수 없으니까요. 특히 신생대에 번성한 볏과 와 콩과의 식물은 번식률이 높고 많은 수의 열매가 한꺼번에 열리기 때문에 주식으로 안성맞춤이랍니다. 누구를 피할까? 기껏해야 1~2m 크기인 인류에게 수십m 크기인 공룡은 가장 무서운 적이었을 거예요. 어떤 종이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드디어 기숙사 입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부서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바람이나 물에 의해 깎이기도 하고, 사람이나 식물 뿌리에 의해 부서지기도 하고, 낮에 뜨거워졌다 밤에 차가워지는 온도 변화에 의해 쪼개지기도 하지요. 이를 ‘기계적 풍화’라고 해요. 또 물속에 녹아 있는 성분들이 암석의 광물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 ...
-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영남대) 등 3명, 농학 분야에서는 김대옥(경희대)·김세권(부경대) 등 2명, 동물학및식물학 분야에서는 박충모(서울대) 교수가 선정됐다. 현택환 교수는 소재과학 분야에서도 선정되는 영예를 누렸다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