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물"(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에너지 만들고 돈 버는 ‘똥’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배양(이산화탄소)에 쓰인다. 다 자란 녹조류가 배양조 바닥에 가라앉으면 압착기가 식물성 기름을 짜내고, 이를 재처리해 바이오디젤을 만든다. 이 과정에 약 일주일이 소요되고, 1인당 200g씩 100명의 대변을 모으면 약 18명이 온수 샤워를 할 수 있는 정도의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대변을 제공한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자손으로 이어지는 진화의 긴 터널 속에서그 원리를 깨쳤다.지구상에는 수많은 동물과 식물, 미생물들이 있다. 우리는 이들의 겉모습만 보고 존재의 가치를 쉽게 판단한다. 하지만 그들의 현재 모습은 아이아이처럼 경이로운 진화의 결과다. 생명체들이 수천만 년 동안 지구상에 존재하고 살아남아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세균(Pseudomonas syringae)은 식물에 붙어 살며 잎이 빨리 얼게 만드는 유해균이다. 땅에서는 식물들의 ‘원수’이지만, 하늘에서는 비를 만들어주는 ‘은인’인 셈이다. 이들은 대류 현상에 의해 지면에서 하늘로 이동한다.여름 냄새로 기억되는 것들은 여러 가지다. 기사에서는 가장 보편적인 비나 흙 ...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그때부터 부지런히 재료를 물어다 나르기 시작해요. 주로 논이나 물가에서 진흙과 마른 식물 등을 물어와 입 안에서 자신의 침과 섞죠. 그리고 열심히 반죽한 진흙 덩어리를 뱉어낸답니다. 이렇게 한 번 비행할 때마다 진흙 덩어리를 하나씩 만들고, 그걸 이어 붙여 단단한 둥지를 만드는 거예요 ... ...
- [게임카페] 리듬 맞춰 폴짝폴짝 달려라, 웃기는 박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소개할 게임 ‘지오메트리 대시’의 캐릭터는 놀랍게도 사람도, 동물도, 그렇다고 식물도 아닌 우스꽝스럽게 통통 튀는 박스예요. 레벨에 따라, 또는 구간에 따라 박스 모양이 다양하지요. 보물이 들어 있는 함 같기도 하고, 게임판에서 신나게 뒹구는 주사위나, 맞추기 어려운 큐브 같기도 해요. ...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아래로 낯선 단어 하나가 눈에 띈다. ‘테아닌(L-theanine)’이다.테아닌은 녹차와 몇몇 식물에만 미량 존재하는 천연 글루타민 계열의 아미노산이다. 인체에서는 스스로 만들 수 없다. 섭취했을 때 체내에 흡수도 잘 되고 뇌혈관장벽도 잘 통과하기 때문에 뇌로 전달되는 데 탁월한 물질이다. 뇌로 ...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다. 해색센서와 다중위성은 한반도 인근 바다색을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으로 관측해 식물성플랑크톤 변화를 관측하고, 수온, 바람, 해류, 파랑 등의 정보를 얻는다.GOCI 같은 해색센서로 촬영한 영상은 용량이 엄청나게 크다. 사진 한 장이 1GB(기가바이트)에 이른다. 한 달 동안 얻은 자료를 합치면 ... ...
- [과학뉴스] ‘해충 퇴치!’ 달콤한 피 흘리는 식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그 중에는 해충을 공격하는 개미가 세 종류 이상 포함돼 있었다. 이런 개미들은 공격당한 식물을 자주 찾아갔고, 정상적인 잎보다 상처 입은 잎 위에서 세 배가량 더 오래 머물렀다. 상처 입은 잎에서 흘러나온 용액을 정상 잎에 떨어뜨리자, 정상 잎도 해충에 의한 피해가 50% 이상 감소했다. 용액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포항 가속기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알아낼 수 있을 거예요. 이를 이용해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우리 몸 속의 단백질이나 식물의 광합성 반응에서 빠르게 생기는 물질 등을 연구할 예정이랍니다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에 이식됐다. 사람이 육안으로 잎의 변화를 알아채기까지는 하루 정도가 걸린다. 이 식물은 23ppb의 TNT, 즉 물 1kg에 TNT가 0.000023g만 있어도 감지한다. 탐지견보다 최고 2만 배가량 민감하다.효소의 최종산물에 의해 활성화되는 바이오센서다.특정 효소를 가진 박테리아 콜로니(군집) 주변이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