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물"(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감칠맛=글루탐산 맛!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다. 감칠맛을 즐기기에 좋은 방법이다. | 피시소스 59mL콩단백질 함량이 30% 이상으로 식물 중 특이하게 높은 편이다. 콩단백질을 발효로 분해해서 만든 된장과 간장은 감칠맛이 풍부하다. | 간장 65mL사탕수수발효시켜 순도 95% 이상의 MSG 조미료를 만든다. 물에 잘 녹게 하려고 나트륨을 첨가해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우선순위로 수집해서 종자를 보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약재로 무분별하게 쓰이는 식물도 마찬가지다. 겨우살이는 항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향후 자생지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씨드볼트는 내년 초까지 종자 저장 및 연구 기능을 완벽하게 갖추고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개장과 함께 ... ...
- [과학뉴스] 광합성도 안 하고, 꽃도 안 피는 식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광합성도 하지 않고 꽃도 피지 않는 식물이 발견됐다. 일본 고베대 생물학과 켄지 수엣수구 교수는 쿠로시마 섬에서 난초과 천마속에 속하는 ... 폐화수정 식물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식물분류학 학술지 ‘파이토탁사’ 10월 14일자에 실렸다 ... ...
- [숲이야기]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친구, 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생물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해요. 다시 말해 버섯은 생태계의 중심에 자리잡고 여러 동식물이 살아갈 수 있도록 영양분을 순환시키지요.그러면 버섯은 대체 언제부터 지구상에 살았을까요? 버섯이 포함된 균류는 고생대부터 있었어요. 현재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균류 화석은 약 4억 4000만 년 ...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반짝이는 모습이 아름다워서 옛날부터 보석으로 쓰였어요.간혹 호박 속에는 곤충이나 식물, 소형 생물 등이 들어 있기도 해요. 이렇게 호박 속에 생물이 갇혀서 만들어진 화석을 호박화석이라고 불러요. 작은 생물들이 나무에 앉았다가 순간적으로 송진에 뒤덮였기 때문에 수천만 년, 혹은 수억 년이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면서 공간을 밝힌다. 현재 로라인 랩에서는 70여 종 약 3000개체의 식물을 태양빛을 이용해 성공적으로 기르고 있다.미래도시 꿈꾸는 지하도시지하도시를 개척하는 인간의 내면 깊은 곳에는, 우주를 탐사하려는 이유와 맞닿아 있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 깔려 있다.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우리가 바깥 세상에 나가면 사람들은 물론이고 이 땅에 아주 오래 전부터 살았던 동물과 식물들이 아주 싫어할 거래요. 민폐를 끼치고 싶진 않은데, 본의 아니게 그럴 일이 생길까 걱정도 돼요.그래도 당분간은 사람들과 알콩달콩 살 수 있겠죠? 전 타고나기를 귀엽고 깜찍하고 사랑스러운 얼굴로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루어져 있지요.날 생(生)은 풀이나 나무가 싹트는 모양을 본떠 만든 상형문자예요. 식물이 태어나다는 의미에서 시작해 이후 살다, 낳다 등 생물에 관련된 다양한 뜻을 지니게 됐답니다. 살아 있는 생물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지요. 또 사람이나 백성을 일컫는 말로도 쓰인답니다. 몸 체(體)는 ...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바람에 그만 가시덤불 위로 추락하고 말았다(스페니 픽스라는 식물로, 선인장과의 식물임에도 잎들이 뒤엉켜 있어 안을 보기가 힘들다). 살짝 들어올렸는데, 아뿔싸. 무게추와 프로펠러를 연결해주는 2cm 크기의 작은 부품이 떨어지고 말았다. 이 부품들이 없으면 프로펠러가 아래 방향으로 규칙적인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단 하나의 mRNA에만 달라붙는다. miRNA가 ‘일당백’이라면 siRNA는 ‘원샷 원킬’인 셈이다(식물의 miRNA 중에는 siRNA처럼 하나의 mRNA에만 달라붙는 것도 있다).단백질 생산을 막는 방법도 조금 다르다. miRNA는 리보솜에서 단백질을 만들고 있는 mRNA에 달라붙어 단백질 생산을 방해하는 반면, siRNA는 아직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