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자"(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6화] 설탕이 잘 녹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재료인 차전자피 가루도 역시 수산기가 중간중간에 껴 있어서 물에 잘 녹아요. 차전자피 가루가 물을 잔뜩 흡수할 때 기포가 생기는데, 손으로 살살 만져 이 기포들을 터트려 주면 방귀 소리와 비슷한 소리가 난답니다 ... ...
- 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도시바에서 공개한 작은 개복치의 모습.지난 6월 15일, 국제원전해체연구소(IRID)와 일본 전자기기 업체 ‘도시바’는 원전 수중탐사 로봇 ‘작은 개복치(little sunfish)’를 공개 했어요. 이 로봇은 여름, 후쿠시마 제1원전 3호기 안에 들어가 핵연료의 상태를 파악할 예정이랍니다.후쿠시마 제 ...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동그란 미세먼지가 보였지요. 이렇게 필터에서 미세먼지가 관찰되면 훨씬 배율이 높은 전자현미경으로 세밀하게 형태를 관찰한 뒤, 시약으로 화학 성분을 분석한답니다. 76m 상공에서 폐질환 성분이 발견되다20m 상공에서 채취한 미세먼지(PM10)현미경으로 드론의 포집기 필터를 관찰하자 ... ...
- Part 4. 나무를 지켜라! 바다에서 온 종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또한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고 몸속에서 분해가 가능해 수술 재료나 몸에 부착하는 전자기기에도 활용할 수 있답니다.한편, 바다에 풍부한 해조류를 이용해 만든 종이도 등장 했어요. 충남대학교 서영범 교수팀은 우뭇가사리나 김 등의 ‘홍조류’에서 홍조 섬유를 얻어 종이를 만드는 기술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5화] 액체를 고체로 변신시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온도가 낮을 때는 고체 상태이고, 18℃보다 높을 때는 액체 상태죠. 그래서 글리세린을 전자레인지에 10초만 데워도 액체가 되고, 이 액체를 냉동실에 1분만 넣어도 고체가 돼요. 액체 상태인 글리세린에 색소와 곤충 모형까지 쏙 넣고 굳히면 아름다운 호박보석을 만들 수 있답니다.‘끈적이 액체괴물 ... ...
- Part 4. [미션 2] 태양풍을 관측해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지구에 태양폭풍이 오면 각종 피해가 발생해요. 방사선에 노출되거나 인공위성과 전자 장비가 고장나고, 대규모 정전까지도 일어날 수 있지요.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큰 태양폭풍은 1859년 9월에 발생했어요. 보통 태양폭풍이 지구로 오려면 2~3일이 걸리는데, 이때는 17시간 만에 도착했어요. 이로 인해 ... ...
- 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전달한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 환경그룹 김연한 연구원은 “전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가 물 분자를 진동시켜서 음식을 데우는 것처럼, 태양에서도 파동이 코로나 입자를 가열시킨다는 이론”이라며, “실제로 관측을 통해 태양에서 파동 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 ...
- Part 2. 금부터 희소금속까지, 폐전자제품에는 자원이 가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전자쓰레기 속의 금속을 재활용한다?!전자제품에는 금, 은, 구리 등 다양한 금속이 포함돼 있어요. 금속을 재활용하지 않으면 경제적으로도 낭비겠죠? 그래서 많은 나라들은 전자제 ... 자원이 가득!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Part 4. 성공의 열쇠는 폐전자제품 ... ...
- Part 4. 성공의 열쇠는 폐전자제품 회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잠자는 스마트폰을 깨워라!도시광산 산업이 성공하려면 폐전자제품을 수거하는 것이 꼭 필요해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폐전자제품이 집 안에 방치되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처리되는 ... 자원이 가득!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Part 4. 성공의 열쇠는 폐전자제품 ... ...
- [과학뉴스] “목 말라요” 식물 대신 말해주는 센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잉크를 만들었다. 이 잉크를 기공 근처에 바르면 전류가 흐르는 전자회로를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기공이 닫힐 때마다 전류가 흐르고 기공이 열리면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만들어, 식물 기공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알아보는 센서를 만들었다. 연구를 이끈 마이클 스트라노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