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자"(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채소왕 시금치의 특별한 프로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시금치는 나물로 먹어야 좋다?!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시금치를 끓는 물에 데친 뒤 마늘, 참기름 등과 버무려 나물로 만들어 먹어요. 반면 외국에서는 시금치를 익히지 않 ... 시금치의 특별한 프로필!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 ... ...
- [과학뉴스] 목성의 오로라 생성 원리 알고 보니 반대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행성들이 저마다 주변 우주 환경과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방법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려준다고 설명했다. doi:10.1038/nature2364 ... ...
- [SW 기업 탐방] 험온, 콧노래만 흥얼거려도 자작곡 완성~!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기능만 탑재해 서비스했어요. 놀랍게도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험온을 좋아해줘서 삼성전자를 퇴사하고 스타트업을 차리게 됐지요.” 콧노래가 음악 되는데, 푸리에 변환은 필수험온의 기술은 크게 음정 인식과 머신러닝에 의한 반주 기능, 두 가지다. 먼저 콧노래를 인식해 악보로 만드는 ... ...
- Intro. 인공 심장이 뚝딱! 시금치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나는 시금초등학교에 다니는 신금지. 등교 전 아침을 꼭 챙겨먹는 건강 소녀지.그런데 오늘은 정말 밥 먹기 싫다…. 시금치 나물에 시금치 된장국까지….“으~, 시금치는 ... 시금치의 특별한 프로필!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 ... ...
- [Career] 마음먹은 대로 전기 제어하는 마법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축전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를 작게 만들 수 있는 셈이다. 연구팀은 LG전자와 공동으로 재질에 관계없이 데울 수 있는 인덕션 히팅 기술도 개발 중이다. 원하는 주파수에서 인덕션 전기레인지의 코일에 고전압을 흘리는 기술을 개발해 어떤 재질의 냄비도 안전하게 가열할 수 ... ...
- [과학뉴스] 프린터로 출력한 종이칩으로 질병을 진단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서강대학교와 덴마크공과대학교, 태국 출랄롱콘대학교 공동연구팀은 프린터로 종이 전자칩을 출력해서 스마트폰으로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이 칩은 일반 용지에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해서 간단히 만들 수 있어요.먼저 프린터로 혈액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회로를 ... ...
- [과학뉴스] 비트코인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까지 치솟았습니다.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블록체인(데이터 분산저장 기술)을 활용한 전자화폐 이더리움 역시 올해 1월 1일 8.09달러(약 9000원)에서 8월 15일 229.21달러(약 26만 원)로 약 29배 상승했습니다.이수정 메리츠종금증권 글로벌전략 애널리스트는 올해 6월 보고서를 통해 “가상화폐 시스템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차원 뇌 종양 그림 자동 추출하는 소프트웨어이 책임연구원은 국립목포대 전자공학과(현 전자·정보통신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영상처리를 주제로 2007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남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던 중 서울로 직장을 옮길 기회가 찾아왔다.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무한히 갈라지는 우주양자역학은 기존 이론으로는 잘 설명이 되지 않았던 원자나 전자 같은 미시세계를 다루기 위해 20세기에 등장한 물리학의 한 분야다. 그런데 양자역학은 현상을 확률적으로 해석한다. 예를 들어 지우개와 입자가 방 안 어디에 있는지 묻는 문제를 생각해 보자. ... ...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육성하는게 사업의 목표다. 매년 건축, 금속·소재, 기계·재료, 생명·식품공학, 전기·전자·반도체, 전산·컴퓨터, 토목·환경공학, 화학공학 등 8개 전공 대학원생을 연구책임자로 발탁한다. 사업에 지원한 중·고등학생과학부 대학생은 대학원생 연구책임자의 팀원이 된다. 실제 이 사업의 수혜자로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