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체계를 보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NA 데이터 저장 기술에 즉시 응용할 수도 있다. 마치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저장하듯 DNA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김하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합성생물학전문연구단 선임연구원은 “데이터를 저장할 때 8개의 염기로 암호화하면 염기가 4개일 때보다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읽어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존 컴퓨터의 반도체 구조는 정보의 병목 현상, 무어의 법칙(반도체 집적회로의 메모리 용량과 속도가 1년 6개월마다 두 배 증가한다는 내용) 등 한계가 많았다. 뉴로모픽 반도체는 이를 돌파하기 위해 나왔다. ... ...
- [미국유학일기] ‘오피스 아워’에 자주 찾아가 교수와 친해지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화학과는 학년별로 20명뿐이어서 매우 적은 편이다. 그럼에도 서로를 다 알지는 못한다. 컴퓨터공학과처럼 학년별로 수백 명씩 있는 학과는 학과에 대한 소속감이 더욱 낮다.그렇다면 길게는 2년 동안 소속 학과가 없는데, 교수와는 어떻게 친해질까. 다행히 스탠퍼드대에는 ‘PMA(Pre-Major Advisor)’ ... ...
- 시트콤과 애니메이션에서 갑자기 툭하고 튀어나온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수학자는 각종 소수 관련 이론을 이용해 자연수 중 쉘던 소수의 후보를 유한개로 줄인 뒤 컴퓨터로 일일이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2019년 2월 미국수학회에서 만드는 학술지 ‘월간 미국 수학’에 쉘던의 추측을 증명한 논문을 발표합니다.이 증명을 본 빅뱅이론의 과학 자문 담당 데이비드 잘츠버그 ... ...
- 수학으로 테러 조직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수학자입니다. 미국 CIA, 자메이카 국가 안보부 등과 협업했고 다섯 번의 ‘대테러 수학적/컴퓨터과학적 방법’ 학회를 공동 주관하기도 했지요. 팔리는 격자 이론과 그래프 이론을 주로 연구하는 순수수학자로, 미국 뉴스 채널인 ‘폭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공부한 것으로 어떻게 사람의 ... ...
- Step2. 대기오염 물질의 흐름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아직 그 해를정확하게 구할 방법을 모르는 수학계 난제입니다.그래서 현재 연구자들은 컴퓨터를 이용해 해의 근삿값을 구해 대기오염 예측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또 있습니다. 오염 물질의 움직임을 예측할 때 지구 전체를 잘게 쪼개 계산하면 정확도가높아지지만,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보드게임의 필승 전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다룬 이론을 ‘게임 이론’이라고 해요. 게임 이론은 경제학과 더불어 생물학, 정치학, 컴퓨터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죠. 보드게임은 물론이고요! 가장 긴 길을 만드는 사람이 승리!인기 유튜브 크리에이터 도티와 잠뜰이 소개하는 키코블록 보드게임은 2명부터 4명의 친구가 함께할 수 ... ...
-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200개에 해당하는 속도로 뇌의 신경연결망을 분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며 “컴퓨터의 연산 속도가 계속 빨라지는 만큼 뇌의 신경연결망 지도를 만들고 이를 토대로 신경세포의 상호연관성과 기능의 발현 과정을 밝혀내는 게 불가능 한 일은 아닐 것”이라고 전망했다. doi:10.1016/j ... ...
-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가까운 것으로 알고 있다”며 “생물학에 대한 거의 모든 연구는 수리생물학을 통해 컴퓨터라는 가상공간으로 옮길 수 있어 이 분야는 앞으로도 더욱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김 교수는 수리생물학에 관심 있는 학생들을 위해 조언도 남겼다. 그는 “수학자, 생물학자, 물리학자 등 배경 지식이 ... ...
- [수학뉴스] 수학증명, 인공지능에 맡겨라!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과정은 무척 복잡해서 인공지능이 하기 힘든 일 중 하나로 꼽혀왔습니다. 연구팀은 미국 컴퓨터과학자 존 해리슨이 만든 증명 프로그램 ‘HOL Light’을 활용해 새로운 인공지능을 만들었습니다. 여기에 이미 수학자가 증명한 수학 정리 1만 개를 학습시키고, 수학적 귀납법처럼 수학자가 쓰는 증명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