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만든 장난감들의 사연 토이스토리4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실제로 사람들이 보게 될 이미지를 생각하지만, 개발자는 모든걸 숫자로만 인식하는 컴퓨터를 위해 ‘좌표’라는 수학 개념을 사용하지. 2차원 평면은 x축과 y축으로 표현할 수 있어. 이때 x 좌표는 어떤 물체가 좌우로, y 좌표는 위아래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나타내는데, 이런 좌표를 이용해 내가 ... ...
- [맛있는 수학] 솔로몬의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있지만, 그 해를 햄 샌드위치 정리가 찾아주지는 않는다는 거예요. 해를 구하는 것은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다른 방법을 통해 계산해야 해요. 저는 칼 한자루만 들고 감으로 잘라야 해서 여러 번 시행착오를 거쳐야 했답니다. 팀 원들의 표정을 보면 누가 더 큰 조각을 받았는지 검증할 수 있을 것 ... ...
- [수학뉴스] 인공지능의 수학 실력, 1+1+1+1+1+1+1=6?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위해 인공지능 두 대에게 수학시험을 치르게 했습니다. 시험 문제는 C나 자바(Java)처럼 컴퓨터가 이해하는 형태의 언어가 아닌 영어로 출제했습니다. 사람이 수학 문제를 풀 때 추론 능력을 이용하는 것처럼 인공지능이 수학적 사고를 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연구팀의 목적이었기 때문입니다 ... ...
- [미국유학일기]3일 밤샘 공부 가능한 스탠퍼드대 도서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꽤나 많다. 중앙도서관이라고 할 수 있는 ‘그린 도서관(Green Library)’ 외에도 강의실과 컴퓨터 라운지가 있는 ‘라스롭 도서관(Lathrop Library)’, 과학 서적들이 위치한 ‘리앤마 과학도서관(Li and Ma Science Library)’ 등 주요 건물에는 작더라도 반드시 도서관이 있다. 그 중에서 라스롭 도서관에는 .. ...
-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했다. 이어서 약 10줄에 이르는 글을 소리 내 읽게 했다. 박 씨가 이를 읽자 센서를 통해 컴퓨터에 입력된 박 씨의 음성 데이터는 파형으로 바뀌어 기록됐다. 호흡량을 검사하기 위해 숨을 크게 마신 뒤 한 번에 ‘후~’ 하고 내뱉는 동작도 세 번 반복했다. 최대발성량을 확인하기 위해 마스크를 ... ...
- [수학뉴스] 처음으로 포착한 블랙홀의 그림자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망원경으로 관측한 효과를 냈습니다. 이때 관측한 4100테라바이트(TB)가량의 데이터를 슈퍼컴퓨터로 분석해 블랙홀의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이 핵심이었죠. 2년이나 걸린 이 과정에는 다양한 알고리듬이 쓰였습니다.그 중 캐서린 보우먼 하버드대학교 연구원이 개발한 알고리듬은 마치 Q직소퍼즐을 ... ...
- "흥미로운 곳에 길이 있다" 잉그리드 도브시 인터뷰수학동아 l2019년 05호
- 5개 지역으로 묶어 각각 1명씩 수상자를 뽑는다. 올해 처음으로 자연과학 분야에 수학과 컴퓨터 과학을 추가했다.이론 물리학자에서 수학자로도브시 교수의 전공은 이론 물리학이다. 어린 시절 프리즘을 통과한 빛이 굴절해 파장이 다른 빛으로 나뉘는 것에 흥미를 느꼈다. 그 원리를 이해하고 싶어 ... ...
- [SW 진로체험]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영상만든다!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제작 시간을 줄이기 위한 연구들을 많이 진행하고 있어요. 특히 렌더링은 시간과 컴퓨터 자원을 많이 소모하는데, 딥러닝이나 인공지능을 이용해 적은 연산으로 짧은 시간 안에 렌더링하는 기술들이 나오고 있죠. 미국의 대규모 스튜디오에서는 실제로 인공지능을 사용해 VFX 작업을 하고 있어요 ... ...
- 세계 첫 민간 달 착륙선 '베레시트' 실패가 남긴 것과학동아 l2019년 05호
- 6번 돌면서 달의 중력이 끌어당기는 힘을 이용해 달 궤도에 진입했다. 중간에 갑작스런 컴퓨터 고장으로 시스템을 재시작하면서 궤도 진입에 실패하기도 하고, 태양이 뿜어내는 방사선에 의해 항법장치가 먹통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난관을 모두 이겨내고 총 650만km를 날아 지난 4월 5일 ... ...
- 블랙홀 첫 직관, 여전히 궁금한 5가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그림자는 약 1000억km에 걸쳐 드리워져 있는데, 사건지평선보다 2.5배가량 컸다. 그동안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는 블랙홀의 그림자가 사건지평선의 1~5배로 예측값이 다양했다. 블랙홀 주변의 가스가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빠르게 회전하며 10억 도가 넘는 뜨거운 빛을 뿜어내고 있다는 사실도 이번에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