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d라이브러리
"
컴퓨터
"(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SW 진로체험] 정보보안 이끄는 튜링의 후예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수학자 앨런 튜링은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
의 개념을 세계 최초로 생각해내고 디지털 정보 보안 시대를 열었다. 이런 의미에서 현대 정보 보안 기술 전문가들은 튜링의 후예라고 할 수 있다. 수학을 전공한 21세기의 튜링을 만나기 위해 삼성SDS를 찾았다. ●SW와 보안 기술 연구 삼성은 ... ...
[맛있는 수학] 수학자의 팬케이크 정렬 문제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일반식을 구할 수 없다고 해도 팬케이크 문제의 원리는 불규칙한 데이터를 정렬하는
컴퓨터
과학에서 필요한 부분이므로 더 효율적인 알고리듬을 찾는 연구는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기본 팬케이크 문제 말고도 ‘까맣게 탄 면이 있는 팬케이크가 섞여 있을 때 큰 팬케이크가 아래로 가되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기본 아이디어가 구체화 된 것은 사실 50여 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핵무기나 최초의
컴퓨터
가 개발된 시기보다 늦은 셈입니다. 대륙은 어떻게 움직일까?1912~1915년 독일의 젊은 과학자 알프레드 베게너는 오늘날 ‘대륙이동설’로 불리는 가설을 제기합니다. 그는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 ...
[과학뉴스] GPS 없이 움직이는 ‘개미 로봇’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기억한다.사막개미가 적은 수의 뉴런을 갖고 있는 것처럼 앤트봇은 매우 단순한
컴퓨터
프로세서를 장착했다. 앤트봇의 눈 역할을 하는 광센서는 14픽셀에 불과하다. 연구팀이 개발한 앤트봇은 5~14m까지 이동했다가 1cm 미만의 정확도로 제 위치로 돌아왔다. 방향의 정확도 오차는 0.4도로 매우 ... ...
[오일러 프로젝트]앞뒤가 똑같은 대칭수~못 만드는 ‘라이크렐 수’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아직도 분명히 밝혀지지 않은 것도 그 이유 때문이다.
컴퓨터
가 발전하면서 많은 학자가
컴퓨터
계산으로 196이 대칭수가 되는지를 알아봤다. 존 워커라는 학자는 1987년부터 1990년까지 100만 자리가 될 때까지 계산했지만 대칭수가 나오지 않았다. 1995년 팀 어빈은 200만 자리까지 계산했지만 결과는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학시계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구분할 수 있는 경우가 전기가 켜졌을 때와 꺼졌을 때로, 두 개이기 때문이에요.
컴퓨터
는 전기가 연결되면 1로, 연결되지 않으면 0으로 이해하지요. ● 미션 2 - 수식을 배워보자-제곱과 제곱근 이번 메이커 스쿨에서는 섭섭박사님께서 제곱과 제곱근에 대해 알려주셨어요. 제곱이란 같은 수 또는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크게 줄어든다.2016년 11월 탕 하오옌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전자공학및
컴퓨터
공학과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초음파를 이용해 15mm2 지문 면적의 외피와 내피를 초당 38번 w촬영해 3차원 이미지로 만드는 개발했다고 국제전자전기공학회(IEEE)가 발행하는 ‘고체회로저널’에 발표했다. ... ...
[이달의 책] 주변을 둘러봐 과학은 어디에나 있어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생전에 남긴 말이다. 2016년 타계한 그는 인간 뇌의 신경망을 모방해 논리회로를 만들면
컴퓨터
도 지능을 가질 수 있다고 믿었다. 사람들은 흔히 인간에게 ‘자아’ 혹은 ‘정신’이 있다고 믿으며, 자신이 다른 동물과는 다른 특별한 존재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저자는 인간의 자아 혹은 정신이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자율복원 기술 개발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사이버 세계를 담당하는
컴퓨터
설계, 물리 세계를 담당하는 제어 설계,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통신 설계가 각각 독립적으로 이뤄진 뒤 이들을 합쳐놓았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논리 구조대로 움직이는 사이버 세계와 역학적 방식으로 ... ...
[알고리듬 시그널]가장 많이 쓰이는 클러스터링 알고리듬, κ-평균 클러스터링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쓰이는 ‘k-평균 클러스터링’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원리가 간단해서 프로그램이나
컴퓨터
언어를 다룰 줄 몰라도 쉽게 익힐 수 있거든요. 나누려는 집합의 개수 즉, 클러스터 수를 정하고 두 점 사이의 거리만 구할 수 있으면 돼요. 거리 구하는 법을 모른다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 소개에서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