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d라이브러리
"
컴퓨터
"(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세기의 난제 ‘짐 쌓기’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강릉원주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교수는 “여러 개의 중앙처리장치(CPU)를 이용한
컴퓨터
계산을 할 때도 작업 일정을 분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 ...
[오일러 프로젝트] 길 찾기 달인 모여라! 경로 찾기 문제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꽤 큰 종이와 상당한 인내심이 필요할 거예요. 똑같은 계산을 프로그램으로 짜서
컴퓨터
에 맡기면 훨씬 편하고 빠르게 답을 구할 수 있답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경로의 수를 계산하다 보면 일반적인 정수 범위(32비트)를 넘는 큰 수가 나오기 때문에 ‘큰 수’에 적합한 *자료형을 써야 한다는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생각할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한편 가설2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신경회로만으로는 ‘이해’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컴퓨터
는 이해하고 생각할 수 없다고 여겨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위키백과는 언제나 가장 위에 뜨는 콘텐츠 중 하나다. 2017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
과학및인공지능연구실과 피츠버그대 경제학과 공동연구팀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화학 분야의 논문을 조사한 결과, 논문에 쓰인 830개 단어마다 1번꼴로 위키백과 내용이 반영됐다. doi: 10.2139/ssrn.303950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김기범 웨타 디지털 CG 슈퍼바이저 "머리카락 움직임 한 가닥씩 계산" “배역 전체를
컴퓨터
그래픽(CG)으로 구현한다는 점이 가장 어려웠습니다. 제임스 캐머런 감독의 전작인 영화 ‘아바타’는 상상이 가미된 형태이지만, ‘알리타’의 경우 눈이 좀 크다는 점을 제외하면 사람하고 똑같습니다. ... ...
[서울대 공대|
컴퓨터
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
공학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거듭하면서 오늘날 인류 문명에 좀 더 영향을 끼치는 방법은
컴퓨터
일 것이라는 생각에
컴퓨터
공학부에 들어오게 됐다.
컴퓨터
공학부 진학을 마음먹고 나니 김 씨에게 가장 가능성이 큰 전형이 지역균형전형이었다. 그는 지역균형전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 과목 내신 성적이라고 생각해 고교 ... ...
Part 4. 좁은 공간도 문제 없다! 가구 옮기기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연구원은 현재 거버가 계산한 값이 맞는지를 확인하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소파가 벽에 어떻게 닿는지를 확인해 모양을 검증해 보는 방식이죠. 백 연구원은 “최적의 모양 자체가 워낙 복잡해서 증명을 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어요. 피아노만 옮기면 이사 끝 ... ...
[SW 진로 체험] 수학, 금융을 꽃 피우다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주세요. 이용승 프로그래밍 지식은
컴퓨터
를 조수로 두는것과 같아요. 일의 일부를
컴퓨터
에게 맡기고 그 시간에 다른 걸 할 수 있으니 시간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죠.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중요해요. 어떤 직무를 맡아도 일주일에 최소 1번 이상 회의를 하니까 사람들과 소통하고 자기 의사를 ... ...
[과학뉴스] 거울을 터치스크린으로 만들어 유튜브 영상 본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기술은 2018년 11월 4~7일 중국 선전에서 열린 모바일 및 센싱 분야의 국제학회인 ‘미국
컴퓨터
협회 센시스’에서 발표돼 ‘베스트 페이퍼 러너업 어워드’를 수상했다 ... ...
[과학뉴스] 中 연구팀, 두부 집을 수 있는 로봇 손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두부를 부서지지 않게 집을 수 있는 로봇손이 개발됐다. 첸샤오핑 중국과학기술대
컴퓨터
과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로봇 손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유연한 소재로 이뤄져 부드럽거나 깨지기 쉬운 물체도 쉽게 잡을 수 있다. 조작도 간단하다. 첸 교수팀은 2018년 8월 9~11일 호주 뉴캐슬에서 열린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