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행
대변
대표
대치
대체
대리인
스페셜
"
대신
"(으)로 총 1,405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스테이지 인터뷰] “작은 나라 룩셈부르크, 우주산업 지원은 강대국급”
동아사이언스
l
2019.08.31
기울이고 있다. 슈나이더 부총리는 포럼 백스테이지 인터뷰에서 우주자원탐사 분야
대신
투자하고 싶은 다른 우주 분야가 있냐는 질문에 “뉴스페이스에 관한 모든 분야를 발전시키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룩셈부르크 우주산업은 세계적인 민간 위성 운용사 SES로부터 시작됐지만 여기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미토콘드리아가 된 것으로 추정하는 알파프로테오박테리움(alphaproteobacterium)이 아니었다.
대신
황산염을 환원시키는 박테리아와 메탄을 생성하는 고세균이었다. 추가 배양실험 결과 박테리아는 없어도 되지만 메탄 생성 고세균은 꼭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고세균 두 종(MK-D1과 메탄 ... ...
[기자의 눈]전문연구요원제도 존치? 오죽하면 경제논리도 안먹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고민하지 않고 등한시한 면이 크다. 일부 언론을 통해 교수 논문
대신
써주는 박사 전문연구요원제도가 폭로되고 제도를 악용해 일부 기업들에서 비리 문제가 계속해서 터지는데도 자정 기능을 발휘하지 않은 채 즉자적 대응으로 일관하면서 좋은 취지의 제도를 국민의 ... ...
"축소 논란 이공계 전문연구요원 선발기준에 연구역량 추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축소의 이유로 형평성과 병역자원 감소를 들고 있다. 자연계 석사 이상에게만 현역 복무
대신
대학, 방위산업연구기관, 산업체 등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특혜라는 것이다. 또 2020년대에 들어 병역자원이 3분의 1로 줄어드는 상황에서 전문연구요원 제도의 축소도 어쩔 수 없이 필요하다고 ... ...
'조국 딸'논문 "단일염기다형성과 뇌질환 관련성 연구"…"기여도·이해수준 파악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등장하는 'Glu298Asp'는 eNOS 유전자의 298번째 염기에 변이가 생겨 아미노산이 글루탐산(Glu)
대신
아스파트산(Asp)이 만들어졌다는 뜻이다. 이런 미세한 차이 땜에 유전자의 기능이 달라질 수 있고 특정 병에 대한 발생 가능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연구팀은 eNOS 유전자에 나타난 변이가 ... ...
고기 덜 먹으면 온난화 속도 늦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지적이 나왔다. 글로벌 패스트푸드 업체 버거킹은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쇠고기
대신
식물성 패티를 넣은 햄버거를 출시하며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동참한다는 의지를 보였다. 2018년 기준 전 세계 1만7796개의 체인점을 운영하는 패스트푸드 업체가 식물성 패티를 넣은 햄버거를 출시한 건 ... ...
[프리미엄 리포트] 부르키나파소는 왜 GM모기 방사를 결정했나
과학동아
l
2019.08.17
생식 능력을 잃지 않는다. 수컷과 염색체 하나만 불량인 암컷은 번식을 할 수는 있지만,
대신
모기 집단 내에 망가진 유전자가 퍼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결국 모기 집단 전체가 망가진 유전자를 갖게 되면서 암컷 전체가 생식을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이 기술 역시 크리산티 교수팀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의학이 고도로 발달한 지금도 극히 일부이긴 하지만 자식이 병에 걸리면 병원에 가는
대신
종교 의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람들이 있다. ‘의학’이 생겼다는 것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서 주술과 미신 따위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했다는 말이다. 그 어려운 일을 하신 분이 히포크라테스이다. ... ...
'과학'은 사라지고 '사회' 더 강조한 이상한 과학교육표준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쓰일 예정이다. 하지만 과학의 사회적 활용을 강조하면서 정작 과학 개념은 부족해지고
대신
사회적 개념만 늘어났고 교육 표준으로 쓰기에는 실제 현장과 괴리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달 7일 서울 용산 서울드래곤시티에서 열린 ‘앞으로 30년,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과학교육 ... ...
유행어된 '한국형DARPA'…과기정통부·국방부 누가 혁신의 아이콘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살리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PM이 주요 과제에 연구비와 인력 등 역량을 맘껏 투입하는
대신
연간 예산이 고정돼 유연성이 없는 점과 과기정통부, 기획재정부, 국회 등 너무 다양한 참여 주체가 연구 예산을 제각각 좌지우지하고 있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경쟁형 연구개발과 같은 중복투자를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