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본"(으)로 총 1,6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폭력을 휘두르고 또 며칠 잘해주고 폭력을 휘두르는 싸이클이다. 피해자에게 모든 것이 본인 하기에 달렸다는 가짜 통제감을 주고 ‘내가 잘못해서 그래. 사실은 나를 아껴주는 사람이야’ 같은 자책 및 환상을 동시에 갖게 만든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한 번 폭력이 발생하면, 일단 선을 한 번 넘은 ... ...
-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동아사이언스 l2018.03.14
- 만한 해답은 제시되지 않았다. 수정된 이론을 통해 호킹은 블랙홀도 양자역학의 기본원칙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받아들였다. 10년 뒤인 2014년 호킹은 이를 재차 수정했다. 블랙홀에는 물질을 빨아들이는 사건의 지평선 조차 없으며, 블랙홀에서 양자역학을 위배해 정보를 잃은 입자가 나오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2018.03.14
- 못하게 됐다. 그 뒤 호킹은 특수장치로 뺨을 움직여 문장을 만들고 우리도 한두 번은 들어본 적이 있는 음성 합성기로 ‘말했다’. 한편 오랜 세월 남편을 간호하던 제인이 지쳐감에 따라 서로 사이가 멀어졌고 결국 이혼을 하기에 이르렀다. 호킹은 간호사 일레인과 1995년 재혼했다. 그리고 일레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몇 가지 얘기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특히 흥미롭다. 확실히 나보코프는 과학자로서 기본이 돼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공감각 소유자의 색 연결은 일생을 통해 일관되게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의 경우 이에 대해 상당한 정도로 엄격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아버지는 내가 여덟 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이, 건강이, 성공이 정말 당연해?2018.02.10
- 꽃길만 걸어야지!’라고 생각하곤 하는 나 때문에 ‘정말 당연해?’라는 질문을 종종 해본다. Kray, L. J., George, L. G., Liljenquist, K. A., Galinsky, A. D., Tetlock, P. E., & Roese, N. J. (2010). From what might have been to what must have been: Counterfactual thinking creates mea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8, 106-118.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 대한 대비이기도 하다. 실제로 나쁜 일이 일어났을 때 평소 그 일에 대해 걱정을 해본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해당 사건을 비교적 덤덤하게 잘 받아들이고 앞으로의 계획을 빨리 생각해낸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변호사 자격 시험을 앞둔 로스쿨 학생들의 경우 시험에 떨어질까봐 많은 ...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1.13
- 캘리포니아주립대 생화학과 교수는 “프랑켄슈타인은 신의 영역이였던 창조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을 달리 볼 수 있게 만든 작품”이라며 “역사상 가장 많은 영감을 준 소설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를 발판으로) 프랑켄음식, 프랑켄세포라 할 수 있는 인공 물질이 탄생한 것”이라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2018.01.02
- 아래로 퍼져나가며 얼룩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카페 메뉴에서 아직 이 이름을 본 적이 없는데 에스프레소 원샷이 들어간 라테도 커피 맛이 약하다는 사람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신 카라멜 시럽을 얹은 라테 마키아또인 카라멜 마키아또는 인기가 많은 것 같다. 그런데 영미권에서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떠올리는 게 다른 것의 기억을 지우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과일-오렌지, 레몬’을 본 뒤 과일-오렌지만 회상연습(‘Fruit Or_’에 답하는 식으로)을 할 경우 나중에 ‘과일’ 범주에서 오렌지를 기억해낼 비율은 회상연습이 없을 때에 비해 높은 반면 레몬은 오히려 낮아진다. 이 경우 레몬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이 새로운 염기쌍을 생명체에서 구현하기 위해 복잡한 작업을 했고 6년 만에 결실을 본 것이다. 먼저 생명체로는 분자생물학 연구에 가장 많이 쓰이는 대장균을 골랐다. 그런데 대장균은 이들 분자를 ‘먹지’ 않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해양미생물인 규조류의 뉴클레오티드삼인산운반체(NTT)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