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아래"(으)로 총 1,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2016.05.16
- 예를 들어 모니터에서 “당신 친구가 불치의 병 진단을 받았다”는 문구를 읽고 난 뒤 그 아래 가로 막대에서 자신의 감정상태에 해당하는 위치를 클릭한다. 막대 왼쪽 끝은 ‘아주 슬픔’, 오른쪽 끝은 ‘아주 행복함’이라고 표시돼 있다. 한편 얼굴표정의 경우 화면에 뜨는 남성 얼굴을 보고 역시 ...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2016.05.02
- 찍은 사진으로 화살촉이 두개골을 뚫고 들어갔음을 알 수 있다. - 위 MVDHP/D. Jantzen; 아래 톨렌제계곡연구프로젝트/V. Minkus 제공 한편 치아의 DNA를 분석해 어린 시절 먹었던 음식을 재구성한 결과 전투원 가운데 현지인은 얼마 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많은 사람들은 수수가 풍부한 음식을 ...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2016.04.25
- 못한다. 그리고 핵이 세 개 또는 네 개인 세포는 존재하지 않아 이 과정이 정교한 통제아래 일어남을 시사한다. 지난 2010년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간에 존재하는 다핵세포, 즉 핵이 두 개 이상인 세포에 대한 연구는 젖샘세포의 특이한 현상을 이해하는데 영감을 준다. 즉 다핵세포는 단순히 ... ...
- 호기심의 두 얼굴: 호기심은 인간을 이롭게 만들까, 아니면 해롭게 만들까? 2016.04.19
- 특별한 재능이 없다. 열렬한 호기심이 있을 뿐이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눈을 아래로 두고, 두리번거리거나 헤매지 말고, 모든 감각을 억제하여 마음을 지키라. - ‘숫타니파타’에서 올해 초 중력파 검출 성공 발표는 한 사람의 지적 호기심이 인류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새삼 ... ...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2016.03.28
- 정반대로 메리의 공부를 적극 도왔고 인맥을 통해 많은 학자들을 소개해줬다. 이런 여건 아래에서 메리 소머빌은 점차 스코틀랜드 지식층에 알려지게 된다. 당시 영국 수학계는 뉴턴의 유율법을 고집하며 대륙의 미적분학을 받아들이지 않아 많이 뒤쳐진 상태였고 몇몇 수학자들이 본격적으로 ... ...
- 리포솜 화장품, 깊숙이는 커녕 각질도 못 뚫는다2016.03.15
- 많은 연구자들은 리포솜이 온전한 형태로 피부의 각질층 세포 사이 공간을 통과해 그 아래 표피나 진피까지 이를 수 있다고 생각했다. 2012년 ‘Soft Matter’라는 학술지에 발표된 한 논문의 그림으로 리포솜(녹색 공)이 각질층(stratum corneum)을 통과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 ‘Soft Matter’ 제공 ● 5㎛ ... ...
- 일본 친환경 선박용 LNG 연료전지의 연구현장에 가다동아사이언스 l2016.03.04
- 연료전지에 주목한 계기 환경·동력계는 카즈요시 하루미(春海一佳) 계장의 진두지휘 아래 선택적 촉매 환원법(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의 고성능화, 촉매를 이용해 선상에서 유황을 제거하는 기술, 선박용 하이브리드 엔진을 개발하기 위한 제어 기술, LNG, LCO(Light Cycle Oil) 등의 대체 연료 이용 기술 ... ...
- 그린십 기술로 환경과 경제 모두 살린다2016.02.29
- 한국은 대형 LNG추진선박 기술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어 적극적인 제도적 지원 아래 향후 조선업의 미래 성장 동력원이 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장 실장에 따르면, 현재 대형 LNG추진선박을 개발하고 건조하는 국가는 한국이 거의 유일하다. 또 미국은 LNG추진선박에 대한 개발 계획이 없지만, ... ...
- 아시아 첨단축산기술 허브를 꿈꾼다2016.02.26
- 은 ‘동북아를 대표하는 지속가능한 농축산 첨단 산학연 클러스터 구축’이라는 목표 아래 평창에 자리 잡았다. GBST를 대표하는 친환경경제동물연구소와 실험목장을 직접 방문해 연구소의 강상기, 박병철 교수와 목장의 김회웅 수의사를 만났다. 서울대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2016.02.13
- 사진 팔짱 낀 사람이 칼텍의 로슈스 보그트 교수이고 그 오른쪽이 로널드 드레버 교수다. 아래 왼쪽 사진 앉아있는 사람이 MIT의 라이너 바이스 교수이고 오른쪽 사진이 칼텍의 킵 손 교수다. -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제공 아인슈타인은 중력파가 검출될 가능성이 없다고 봤지만 많은 후배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