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아래"(으)로 총 1,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2015.10.06
- 희망을 꺾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1980년 열대병전문가인 모하메드 아지즈의 지휘아래 서아프리카 주민들을 대상으로 1차 임상시험이 실시됐고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사상충에 감염되면 극심한 피부가려움과 각막염증으로 결국 실명하게 돼, 강(매개 곤충인 흑파리 서식지)을 낀 마을에는 실명자가 ...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2015.09.14
- 주마(왼쪽 사진), 제인 구달(오른쪽 위), 앨 고어(오른쪽 가운데), 리처드 리키(오른쪽 아래) 등 유명인들을 연구실로 초청해 발굴을 자랑하며 사진을 남긴 버거 교수. - 리 버거 & 비트바테르스란트대 제공 ● 인류의 요람으로 뜨는 남아공 이번 호모 날레디 발표로 남아공이 고인류학의 ...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 들어오는 빛이 위아래에서 들어오는 빛보다 많다. 즉 천적이 나타날 확률이 희박한 위아래에서 오는 빛은 줄이면서 천적이 출몰하는 좌우에서 오는 빛은 늘리는 구조다. 파노라마 영상을 밝게 볼 수 있는 장치인 셈이다. 연구자들은 계통분류학적 기법을 써서 눈동자 모양의 진화과정을 ...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2015.08.24
- 개입하는 번거로움 없이도 효모 한 균주가 포도당에서 모르핀을 만드는 게 가능해진다. 아래는 5월 21일자 기사의 일부분이다. “생명공학 덕분에 모르핀이 맥주양조만큼이나 쉽게 만들어질 날도 머지않았다. 5월 18일자 ‘네이처 화학생물학’에는 단순당을 모르핀으로 바꾸는 생합성 경로의 앞 ...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2015.08.17
- 효모는 발효가 끝나도 술에 떠다니는 반면(상면발효), 라거맥주의 효모들은 서로 뭉쳐 아래 가라앉는다(하면발효). 그러나 1870년 독일의 미생물학자 막스 리스가 이미 하면발효 효모에 대해 사카로미세스 파스토리아누스(S. pastorianus)라는 학명을 지었고 훗날 둘은 같은 종이라는 게 밝혀지면서 ... ...
- 봉한선과 림프선2015.08.03
- 하지만 그러지 못한 경우는 말단 림프관에 흡수돼 커다란 림프관으로 합쳐진 뒤 쇄골 아래에서 정맥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림프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경우 세포 사이에 유체(액)가 넘쳐나면서 몸이 붓게 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런 림프계가 뇌에는 분포하고 있지 않다는 것. 따라서 ...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동아사이언스 l2015.07.28
- 하지 않겠습니까?”라는 김 전 주석의 교시가 실려 있다). 또 이 시기에는 교육성 아래에 ‘학술용어사정위원회’가 구성돼 여러 가지 학술 용어를 통일하는 작업도 진행됐다. 위원회는 1961년부터 단계별로 10만 여 개의 학술 용어와 일반어를 다듬었고, 이후 토의를 거쳐 1986년에 2만5000개 정도의 ... ...
- [사용후핵연료 권고안 ②]사용후핵연료 권고안 자세히 들여다보기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7.22
- ‘국민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제시했다. 이 원칙에 따라 사용후핵연료는 국가 책임 아래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관리되어야 하고, 미래 세대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강조됐다. 위원회는 권고안을 통해 현재 개별 원자력발전소 등 임시 저장시설에 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는 ... ...
- 41년만의 한미원자력협정 개정, 연구자율권, 원전 선진화 기반 전기 마련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30
- 과거에는 협상 대상이 국장급이었지만 앞으로는 양국 차관이 원자력 대표가 되고, 그 아래 4개의 실무위원회가 구성된다. 이전에는 미국이 협정을 주도하고 한국이 쫓아가는 모양이었지만 이제는 대등한 관계로 초안에 녹아들게 했다. 앞으로는 양국 간 상생할 수 있는 원자력 로드맵을 만들 것이다 ... ...
- 병원체에 대한 고찰2015.06.22
- 사실 면역학의 패러다임도 바뀌고 있다. 예전에는 ‘나와 남’이라는 이분법적 구도 아래서 면역계는 우리 몸을 순찰하며 이물질을 찾아 없애는 헌병 역할을 한다고 생각했지만 실제 상황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무엇보다도 우리 몸 자체가 수백조 마리의 미생물이 사는 집이다. 즉 기존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