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속"(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 [JOB터뷰] 따뜻한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걸리는 거 아닌가요?20세기 내내 질병의 원인을 두고 ‘유전이냐, 환경이냐’는 논쟁이 계속됐어요. 현재는 이런 이분법이 잘못됐다고 생각해요. 아무리 환경의 원인을 많이 받는 질병이라도 몸이 유전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순 없어요. 반대로 유전적 요인이 아주 강한 질병이라고 해도 그 질병이 ... ...
- [가상인터뷰] 화성 ‘두더지’, 땅속으로 들어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이제부터는 두더지가 하기에 달려 있거든. 앞으로 두더지 장비가 스스로 땅속으로 계속해서 파고 들어가 5m 깊이까지 갈 수 있는지는 지켜봐야 해. 화성에 겨울이 다가오고 있어서 먼지 폭풍이 방해가 될 수 있어. 두더지가 성공적인 활동을 하도록 함께 응원해줘! 용어정리*측지학 : 천체의 크기, ... ...
- [시사과학] 공인인증서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치명적인 단점까지 있었지요. 이로 인해 공인인증서 사용이 불편하다는 불만이 계속됐어요. 지난 2년 전부터는 본격적으로 공인인증서를 없애자는 논의가 시작됐지요.하지만 인증서가 아예 없어지는 것은 아니에요. 공인인증서가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다는 의미의 ‘공인’ 지위를 잃는 ... ...
- 두근두근, 움짤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줄 알았는데, 과학자들도 쓰고 있었네! 앞으로는 ‘움짤’이 어떻게 진화할까? 우리는 계속 GIF를 사용할까? 미래의 움짤은 ‘GIF’가 아닐지도? 지난해 5월 방송통신위원회가 일반 이미지만 있는 블로그와 움짤이 있는 블로그를 10개씩 뽑아 조사한 결과, 움짤 블로그에 접속할 때 데이터 소모량이 18 ... ...
- [매스미디어] START-UP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데이터일 확률의 함숫값을 구하는데, 이 값이 0.5가 될 때까지 두 인공 신경망의 학습을 계속하면 판별 신경망은 더이상 진짜인지 가짜인지 판별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즉 이 시점에서 생성 신경망이 만든 가짜 데이터가 진짜 데이터의 분포 그래프와 같아지게 된다. 우당탕탕 삼산텍의 미래는 ... ...
-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에 대해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진료를 보기 위해 몸을 계속 움직여야 하는 의료진은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면 체내에 이산화탄소가 쌓이는 저류가 발생해 두통을 느낄 수 있다”면서도 “수험생은 가만히 앉아서 문제를 풀기 때문에 기저질환이 있지 않다면 두통을 느낄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NBI-2)는 2019년 새롭게 도입된 따끈따끈한 ‘신상’ 장비였다. KSTAR는 2007년 완공된 이후 계속해서 장비 성능을 개선해왔다.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연료인 중수소를 1억℃로 가열하는 장치가 필수다. 플라스마를 가열하는 방식에는 이온공명, 전자공명, 중성자빔 등 크게 세 가지가 있다. ...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 이슈 TOP 5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임상 1상시험의 승인을 신청했다. 이제는 제임스웹 시대2021년에도 우주 탐사는 계속된다. 1990년에 발사된 허블우주 망원경의 바통을 이어받을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이 2021년 10월에 발사될 예정이다. 한편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목성 트로이군에 있는 7개의 소행성을 포함해 총 8개의 천체를 ... ...
- 알아두면 쓸모 있는~ 수학동아 알차게 보는 꿀팁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할까요?_박서현 멘토구체적인 목표는 나중에 세워도 될 거 같아요. 지금은 ‘수학을 계속 잘할 수 있는 동기’를 찾는 게 중요해요. 학창 시절에 수학을 잘한다고 나중에도 잘하는 건 아니라서 내가 왜 수학을 잘하고 싶은지, 어떤 수학에 관심이 있는지를 아는 게 중요해요. 인공지능은 물론 건축과 ...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끝없이 깊은 공간을 만들어 냅니다. LED 빛이 아크릴 하프미러와 그 뒤편 거울 사이에서 계속 반사되는데, 그중 일부 빛이 밖으로 나오면서 눈에 보이기 때문이죠. 채원 님은 “처음 메이킹을 접할 때는 나무젓가락이나 아이스크림 막대 같은 구하기 쉬운 재료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는 조언을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