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너넨 우주를 보니? 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자료를 바탕으로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허블의 말처럼 우주가
계속
커지고 있었다면 아주 먼 과거에는 우주가 매우 작았을지도 몰라요. 이런 상상에서 등장한 이론이 바로 우주가 한 점에서 폭발해 생겨났다는 ‘빅뱅 이론’이에요.빅뱅으로 막 태어난 아기 우주는 어떤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을 때는 언제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0호
2~3시가 되면 최고 온도가 돼요. 이후 지표면이 식으며 다음 날 해가 뜨기 전까지 기온이
계속
떨어지지요. 그래서 다음 날 일출 즈음이 가장 기온이 낮답니다.이렇게 하루 동안 나타나는 최고, 최저 기온의 차이를 ‘일교차’라 불러요. 이때, 맨땅보다는 물의 온도를 올리는데 더 큰 에너지가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시간 산소를 보충하지 못하면 고래도 익사한다. 다만 고래는 공기가 들어오는 분기공을
계속
닫고 있어서 폐에 물이 차지 않고 포말이라는 거품이 생긴다. 포말은 폐에 남아있는 공기로 필사적으로 호흡하려다 생긴 흔적이다. 같은 날 부검한 남방큰돌고래의 폐에서도 포말이 관찰됐다.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지상재현시험의 그것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러시아측은 뜻을 굽히지 않았다.
계속
해서 2차 발사의 실패 원인이 비행종단시스템 오작동이라고 주장했다. 수차례 회의에서도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자 양측의 갈등은 극에 달했다. 급기야 흐루니체프사의 부사장이자 러시아측 나로호 발사 ... ...
[탐험대학]코로나19도 우리를 막을 수 없다! 한여름의 로켓 탐험기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탐험가들은 무사히 시험발사에 성공하고 각자의 로켓을 완성할 수 있을까요? 앞으로
계속
될 로켓 분야의 미션과 또 다른 분야의 탐험대학 프로그램이 궁금하다면, 탐험대학 홈페이지(expeditioncollege.co.kr)에서 확인하세요~! ● 신동윤 페리지항공우주 대표를 만나다! Q. 로켓을 만들 때 가장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인버전을 할 때 인물이 사라지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한 예로 요원이 캣을 구하기 위해
계속
해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는 장면에서 요원은 자신이 처음 회전문을 접했을 때의 장면을 다시 마주한다. 영화 초반 요원은 캣의 도움을 받기 위해 비밀창고에 접근하던 중 우연한 기회에 회전문을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기술의 보안을 강화해 안전하게 쓰일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 발전에 따라
계속
해서 새로운 클라우드가 개발되고 있고, 여기에 맞는 새로운 보안 시스템을 갖추는 등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한 예로 최근 클라우드에 집중되는 연산을 분산하고, 서비스의 제공시간 지연을 ... ...
[나의 미국유학일기] 친해지는 시간이 다를 뿐 영어가 전부는 아냐~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영어 실력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에 돌아온 뒤에는 영어 학원에 다니며 영어 실력을
계속
발전시켰다. 민족사관고등학교에 다니면서는 수업을 영어로 들으면서 전문적인 내용을 영어로 이해하는 것을 연습했다.그러나 미국 대학에 와보니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것과 원어민 수준의 영어를 ... ...
[수학뉴스] 화석만 보고 공룡 성별 알아낸다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참여한 에반 새타 연구원은 “아직 크기가 더 큰 화석이 수컷인지 암컷인지는 알 수 없어
계속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7.817로 나눈 약 33.90이 첫 번째 프렛부터 두 번째 프렛 사이의 간격이 된다. 같은 방식으로
계속
계산하면 12번째 프렛은 전체 줄 길이의 절반 지점에 이르고, 1부터 12번 프렛까지가 한 옥타브가 된다. 프렛을 누르지 않은 상태를 ‘개방현’이라고 하는데, 개방현의 음과 12프렛의 줄을 누르고 튕긴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