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속"(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팩트체크] 인공물과 새의 충돌, 막을 수는 없을까?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내려가 겨울을 나는 새도 있습니다. 이와 달리 텃새는 한곳에 계속 머무르는 새입니다. 산새와 물새 등 서식지에 따라 구분합니다. 나그네새나 길잃은 새는 일반적인 상황에선 한국에 오지 않는 새를 말합니다. 새로운 서식지를 찾아 떠돌다 선구자적으로 한반도를 방문하거나 ...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나노과학 분야, 영상처리 분야,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야 등 여러 분야 연구팀과의 협업을 계속해나갈 것이다. 박정원 2012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16년까지 하버드대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2016년 9월부터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 ...
- 팬심 저격하는 맞춤형 패션의 비밀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고객이 옷을 산 뒤에 작성한 품질, 스타일, 가격 등에 대한 만족도를 추가로 분석해 AI를 계속 발전시켰죠. 이미지 분석을 활용한 패션 아이템 분석스티치 픽스 이후 국내외 많은 의류 회사가 ‘고객 맞춤형’ 패션을 추천할 때 AI를 활용하기 시작했고, AI의 발전에 맞춰 그 방식도 발전하고 ... ...
- [수학뉴스] 교육부, 학생 건강상태 자가진단 애플리케이션 출시수학동아 l2020년 10호
- 9 위험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혹시 등교 전 코로나19 증상이 의심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교육부는 의심 증상 여부를 가정에서 점검할 수 있도록 ‘학생 건강상태 자가진단’ 애플리케이션(앱)을 9월 7일에 출시했습니다. 기존에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각자 제공하던 자가진단 웹사이트를 ... ...
- [진로체험] 잘나가는 엔지니어에서 법의 수호자로! 박의준 보리움법률사무소 변호사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활용하고 있죠. 70~80대 어르신도 쓸 수 있을 정도로 쉽고 간편해서 한 번 써본 사람은 계속 쓰는 경향이 있어요.이런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었던 비결이 무엇인가요? 첫 번째는 공학적 지식과 경험이에요. 엔지니어로 활동할 때 훨씬 복잡한 소프트웨어와 기술을 개발했기 때문에, 법률과 관련된 ... ...
- [오일러 프로젝트] 수학자들의 은밀한 파티 '수은파'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친화쌍을 찾아내죠. 하지만 친화쌍의 개수가 무한개인지 유한개인지 아직 밝혀지지 않아 계속 연구하고 있습니다.친화수 외에도 다양한 특징을 가진 수들이 고대 그리스부터 지금까지 연구되고 있습니다. 친화수와 비슷한 ‘완전수’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인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가 제시한 ... ...
- [가상인터뷰] 민첩한 동작 스스로 배우는 인공지능 4족 보행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가상공간에서 모방 학습을 시켰지. 연구팀은 우리의 행동이 개의 동작과 비슷하면 ‘계속해도 좋다’는 명령을 내리고, 개의 동작과 다르면 ‘그 행동은 하지마’라는 명령을 내렸단다. 하지만 가상공간에서의 움직임과 실제에서의 움직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그래서 연구팀은 로봇이 움직일 ... ...
- 하늘로 떠난 수학 사냥꾼, 존 코웨이수학동아 l2020년 09호
- 14개를 정의했습니다. 2를 시작으로 곱했을 때 정수가 되도록 14개의 분수 중 하나를 골라 계속 곱해나가면 2의 거듭제곱 수가 나오는데, 이때 지수에서 소수가 나타납니다. 자세히 살펴볼게요. 2에 곱해 그 결과가 정수인 분수는 M(15/2)과 N(55/1)입니다. 둘 중 하나를 골라 계산하면 되는데, 여기서는 ...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뒤 곧바로 먼 바다로 이동하면서 녹아내리는데, A68은 웨들해의 수심이 얕아 2년 동안 계속 비슷한 위치에 머무르고 있었다. 그러다 2019년부터 웨들해에서 탈출해 북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3개의 조각으로 나뉘어 남아메리카와 남극 대륙 사이의 드레이크 해협으로 이동 중이다.현재 남극 ... ...
- 꽃가루를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시간별 꽃가루 종류나 양에 대한 기초 자료가 없었어요. 그래서 한국에 와서도 혼자 계속 꽃가루를 채집했습니다. Q 그렇게 모은 자료는 어떻게 쓰였나요?2008년 기상청에서 제가 모은 자료를 분석해 ‘꽃가루 지수’를 만들어 보자고 연락했어요. 당시 기상청에서는 어느 날, 몇 시에 꽃가루가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