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외계인은 새해가 헷갈려! 달력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2년 새해가 밝았습니다!”2022년? 가만 보자. 폭죽을 터뜨리고 풍선을 흔드는 저 지구인들, 내가 아니고 2022년을 환영하는 거야? 2022년이 누군데?2022년이 적힌 종이를 팔랑팔랑 흔들고 있는 저 아이를 당장 찾아가 물어보자!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외계인은 새해가 헷갈려! 달력의 ... ...
- [몬스터를 잡아라!] 내가 누구게~? 삼각·사각 몬스터의 변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놀이북 21쪽과 함께 보세요! 삼각 몬스터가 환하게 빛을 내고 있어요! 자세히 보니 원래 알던 삼각 몬스터가 아니에요. “으하하하, 난 변신한 삼각 몬스터다!” 사각 몬스터도 팔을 번쩍 들어 올리곤 팽그르르 제자리에서 한 바퀴 돌았어요. “변신 완료!” 그럼 변신 몬스터를 잡으러 떠나볼까요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보이는 건 다 재봐! 내 다리 길이는 몇 뼘?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 본책 28쪽과 함께 보세요! “ 독자의 몸길이를 기준으로 길이를 재보자!” 수콤이가 여러분의 몸을 이용해 새로운 길이 단위를 만들려고 해요. 내 한 뼘이 얼마만큼인지 어서 알려주세요. 또 내 몸에서 어떤 부위로 길이를 재면 좋을지 추천도 해주자고요~! ...
- [이달의 필수경제] NFT라면 내 사진으로도 떼돈을?과학동아 l2022년 01호
- UC버클리)는 지난해 6월 최초로 노벨상 연구를 기반으로 NFT를 만들어 경매에 내놨습니다.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면역학자 제임스 앨리슨 UC버클리 교수가 새로운 암 치료제 발명 과정을 기록한 10쪽짜리 문서를 디지털 아트와 결합해 NFT로 제작했습니다. 앨리슨 교수의 연구는 기존에 손쓰기 ... ...
- [엣지 사이언스] 윤리·데이터법 개정 물꼬 트나? 희귀질환 게놈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및 의료정보로 진단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지능 장애, 청각 장애, 시각 장애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의 40~55%를 진단했다. 참가한 가족 구성원이 많은 경우 진단율이 높았다.박 교수는 “그동안 희귀질환의 대부분은 원인조차 찾지 못했는데 이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놀라운 결과”라며 “영국은 대규모 ... ...
- 과학자가 만든 일품요리 집에서 즐기세요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간단한 조리만으로도 먹을 수 있는 게 HMR이라지만,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는 일종의 포장지 속의 셰프인 셈입니다.HMR에는 이외에도 많은 기술이 적용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개발된 기술들은 HMR 이외의 다양한 제품군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령 인구가 섭취하기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무선 샤워기를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했습니다.물은 극성 분자입니다. 분자 안에 전자의 분포가 불균형할 경우, 분자 내에 양전하를 띠는 부분과 음전하를 띠는 부분이 구분되는데 이를 극성 분자라 부르죠. 외부 전기장에 반응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풍선에 머리카락을 마구 비벼 정전기를 일으킨 다음, 흐르는 물줄기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공룡을 찾고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있다.( O , X ) 에필로그“이럴 수가…! 그러면 공룡은 정말 없단 말이오? 내가 본 건…?”꿀록 탐정의 설명을 들은 챌린저 교수가 허탈한 표정으로 주저앉자, 꿀록 탐정이 그를 위로했어요.“모든 공룡이 사라진 건 아니에요. 몇몇 수각류 공룡은 새로 진화해 살아남았죠. 저기서 우는 저 ... ...
- [특집] 수학 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막 연구의 다른 도구를 도입했고, 약 130년 만에 슈테판의 궁금증을 푸는 연구 결과를 내놓은 거예요. 수학자들은 자유 경계 연구가 매우 재밌고 흥미로운 일이라고 말합니다. 세상의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되거든요. 암세포가 자라거나 불이 났을 때 불길이 번지는 경로를 예측할 수 ... ...
- 뉴 스페이스를 이끌고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뉴 스페이스 트렌드를 실감할 수 있다”며 “스타트업은 ‘아무도 하지 않은 것을 내가 먼저 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 개발을 한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프로젝트를 맡는 국가와 역할이 다르다”고 말했다.스타트업만이 가지는 어려움도 있었다. 차 선임연구원은 항공우주학과에 진학해 박사 학위를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