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원격수업에도 규칙이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 당첨자는 12월 1일까지ran@donga.com으로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보내 주세요. 선물을 보내드립니다! 다음Mission원격수업 중에 생긴 문제점을 스스로 해결한 경험이 있나요? 원격수업을 제대로 즐기기 위한 나만의 노하우가 있다면 친구들을 위해 공유해 주세요.참여 방법어과수 홈페이지-포스팅에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SEASON4] 고양이 펫시터 '나애옹이 잇시옹'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여느 때와 같이 손님이 없는 탐정 사무실, 스마트폰으로 고양이 동영상을 보던 썰렁홈즈가 외쳤다. “나만 고양이 없어! 안 되겠다. 고양이 ... 펫시터로 거듭날 수 있도록 실습을 시켜주기로 했다.“펫시터가 되면 온 세상 고양이가 내 고양이라옹. 오늘 의뢰받은 야옹이들을 만나러 가자옹 ... ...
- [기획] 맵다! 덥다! 아프다! 감각, 어떻게 느끼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화학 물질을 사용해 26℃ 이하의 차가운 온도에 반응하는 수용체인 ‘TRPM8’을 찾아내기도 했죠. 이후 더욱 다양한 온도 범위에서 활성화되는 수용체가 여럿 확인됐고, 온도 수용체의 발견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TRPV1과 같이 몸에 해를 입힐 정도로 과한 자극을 감지하는 수용체는 통각 ... ...
- [특집] 우리 동네 발자국 화석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않았을 것 같아요.진주시와 산업단지 개발사 측은 산업단지 건설을 완료하기 위해 내심 화석이 보존되지 않길 바란 것 같아요. 화석을 직접 보기 위해 건설 현장에 진입하려다 건설사 측과 마찰을 일으키기도 했어요. Q그런 노력 끝에 화석 산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군요!소식을 듣고 ... ...
- [특집] 공룡 발자국 1만여 개가 한자리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발자국 화석을 발견했죠.지표에 드러난 층과 그 밑층까지 약 5m 두께의 퇴적층을 들어내고 나니, 공룡 발자국이 한가득 찍힌 지층이 발견되었습니다. 초등학교 교실 6.5개에 달하는 넓이의 퇴적층(426㎡)에서 약 1만 개의 발자국이 나왔습니다. 발자국 화석의 양과 밀집도로 볼 때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슬기로운 디지털 발자국 관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당첨자는 11월 15일까지ran@donga.com으로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보내 주세요. 선물을 보내드립니다! 다음Mission나에게 좋은 디지털 발자국이란 무엇인가요?반대로 나에게 나쁜 디지털 발자국은 무엇인가요?좋은 디지털 발자국과 나쁜 디지털 발자국을 구분하여친구들과 이야기 나눠 보세요.참여 ... ...
- [가상 인터뷰] 이족 보행 로봇에 날개가 있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아니라 보행이 불편한 계단을 내려올 때도 굳이 걸어서 내려오지 않고 공중을 날면서 내려올 수 있고 가벼운 점프도 가능하지! 굳이 프로펠러와 다리를 결합한 이유가 있어?나는 보행 로봇의 장점과 드론의 장점을 모두 겸비했어. 보행 로봇은 사람이 이동하는 방식으로 움직이는데, 거칠고 험한 ... ...
- [기획] 세상에서 가장 유쾌한 과학 시상식 상금은 100조 달러(?), 트로피는 DIY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등에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1971년, 미국 해군 예비역인 존 멀리넌 중령은 잠수함 내 바퀴벌레 수를 줄이는 덴 사람에게 해로운 산화에틸렌 대신, 디클로르보스라는 살충제가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를 발표했다 ... ...
- [마인크래프트] 나만의 마법 무기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사용해보세요.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으면 마법을 사용할 수 없어요. 도끼의 경우에는 내가 모은 에너지가 많을수록 효과의 지속시간이 길어지고, 곡괭이는 모은 에너지가 많을수록 번개가 치는 반경이 넓어져요. 잠깐! ‘채팅창에 말하기’ 명령블록과 ‘말하기’ 명령블록이 어떻게 다른가요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위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흡수할 수 있는 숲을 조성하거나, 이산화탄소를 많이 내뿜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인 태양광이나 풍력에너지 기술 등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어요. 우리나라도 지난해 10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올 8월 탄소중립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