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임"(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전지는 ‘번개 전(電)’과 ‘연못 지(池)’라는 두 글자로 이루어 져 있어요. 그대로 뜻을 합치면 ‘번개 연못’이라는 뜻이지만, ‘번개 전(電)’은 전기나 전류를 뜻하기도 하기 때문에 ‘전기를 저장하는 연못’이라는 뜻이 되지요. 백두산 꼭대기에 있는 ‘천지(天池)’가 하늘에 있는 연못을 뜻 ... ...
- [과학뉴스] 러시아 산불이 한국서 초미세먼지 유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러시아에서 난 산불이 국내에 초미세먼지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진상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팀은 위성 관측과 국내 초미세먼지 조성 분석 결과 이 같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고 국제학술지 ‘대기화학및물리’ 6월 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2014년 7월 러시아 시베리 ... ...
- [과학뉴스] ‘덕밍아웃’으로 본 포켓몬 고 열풍과학동아 l2016년 08호
- 7월 6일 미국의 게임 개발사 나이언틱과 일본의 게임업체 닌텐도사가 공동 출시한 ‘포켓몬 고(Pokemon Go)’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은 아직까지 정식 출시지역이 아니지만 속초, 양구 등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게임을할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포켓몬스터 ‘덕후’들이 강원도로 몰리고 있다.포 ...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무한을 담는 무한의 공간이 가능할까요. 이 문제에 답하기 위해 수학자 다비드 힐베르트는 1924년 힐베르트 호텔이라는 사고실험을 제안합니다. 일종의 가상의 호텔인데요. 무한 개의 방이 있고 여기에 투숙하는 손님도 무한 명입니다. 그리고 모두가 방에 들어갈 수 있는지 묻는 거죠. 최근에는 이 ... ...
- [Career] “새로운 걸 원한다면, 과학자를 내버려 두세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유리문을 넘어 개방형 실험실 옆을 한참 걸어가면, 문이 활짝 열린 방이 나온다. 방을 들어섰을 때 처음 반겨주는 건 일렬로 늘어선 알록달록한 컵들. 어디에서 건너왔는지 이름이 또박또박 적혀있다. 옥스퍼드대, 칼텍, NIH, 인디애나대, 그리고 UNIST까지. 과학자들에게 꿈의 구장인 이곳들은 바로, ... ...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사실 나 이전에도 바둑을 두는 인공지능 프로그램들은 있었어. 하지만 인간 챔피언과 공식적으로 대결해 이긴 인공지능은 없었대. 그건 바둑이 ‘인공지능이 도전할 수 있는 최후의 영역’으로 여겨질 만큼 엄청 어려운 게임이기 때문이야.바둑은 가로, 세로 19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격자 모양에서 ... ...
- [Editor’s Note] 공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공존은 함께 산다는 뜻이다. 하지만 그저 공간을 함께 점유한다고 해서 공존이 이뤄지지는 않는다. 한 자리에 나란히 놓여 있는 바위 두 개를 가리켜 공존한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적어도 둘 중 하나는 생명체여야, 보다 현실적으로는 둘 다 생명체여야, 공존의 참의의가 생긴다.공존이 능동적인 행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약 35억 년 전 모든 생명체의 공통조상이 등장한 뒤 생명체는 고세균, 세균, 진핵생물이라는 세 왕국으로 갈라섰다. 진핵생물 외에 고세균과 세균을 묶어 원핵생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진핵생물은 세포 안에 금고인 핵을 만들어 생명의 정수인 DNA를 따로 보관하며, 단백질의 번역을 돕는 기관(리보 ...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노벨상 수상자라면 자신의 분야에서 한 획을 그은 과학자들이다. 연구를 흐르는 강물에 비유하자면, 크고 작은 강줄기를 새로 낸 뛰어난 이들이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강물을 거꾸로 되돌리기도 한다. 2004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아론 치에하노베르 이스라엘 테크니온공대 교수가 그런 과학자다.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우리는 문자나 소리, 몸짓으로 된 언어로 의사소통을 한다. 파충류는 어떨까. 이들도 의사소통을 한다. 우리처럼 언어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대신 소리, 몸짓, 그리고 색을 사용한다.매년 3월이 되면 북아메리카대륙의 미국앨리게이터들은 분주해진다. 따뜻한 봄은 이들에게 사랑의 계절이기 때문이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