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임"(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적이 살의를 품고 있다는 건 총탄의 궤적으로 확실히 구분할 수 있었다. 탄환들은 방금 전까지 윤환의 머리가 머무르던 곳을 관통했다. 윤환은 벽 뒤에 몸을 숨기고 총의 배터리와 잔탄 수를 확인하면서 한숨을 쉬었다. 수동으로 명중률을 높이려면 반드시 호흡을 조절해야 했다. 그는 그 사실을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혼합물은 ‘섞을 혼(混)’과 ‘합할 합(合)’, ‘물건 물(物)’이라는 세 개의 한자로 이루어졌어요. 한자어를 그대로 풀이하면 ‘섞고 합한 물질’이라는 뜻이지요. 과학에서 혼합물은 ‘둘 이상의 물질이 각각의 성질을 지니면서 뒤섞여 있는 물질’을 말해요.‘섞을 혼(混)’은 뜻을 나타내는 삼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어떻게 하면 수학을 더 잘할 수 있을까요?”권순식 KAIST 교수의 고민 중 하나다. 수학과 교수님도 우리랑 같은 고민을 한다는 사실이 재밌다.겸손한 성격으로 인터뷰 내내 본인을 낮췄지만, 권 교수는 대한수학회에서 업적이 뛰어난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상인 ‘상산 젊은 수학자상’을 받은 유 ... ...
- [특별 이벤트] 수학자를 이겨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수학자 김종락 서강대 수학과 교수와 세일중학교 한서경, 용인동백중학교 박동현 독자는 방탈출 대결을 펼치기 위해 아침 일찍 혜화역 2번 출구에 모였어요. 근처에 있는 마로니에 공원에서 잠시 담소를 나누다가 대학로 방탈출 카페 ‘룸 이에스씨’로 발걸음을 옮겼습니다.방탈출 게임은 요즘 유 ... ...
- [수학동아클리닉] 도형의 닮음을 이용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유명한 건축물이나 중요 문화유산은 다양한 형태의 모형으로 제작된다. 정교한 모형은 실제 건축물의 구조와 디자인이 어떤지 알 수 있게 한다. 이 둘은 서로 닮은 도형이다. 자기 자신과 닮은 도형은 어떤 것이 있을까? 닮은 도형에 대한 호기심을 넓혀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를 만들어보고 그 특 ... ...
- [News & Issue] 세균, 콜레라 그리고 물고기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15년 만에 나타난 콜레라 때문에 해산물 먹기가 망설여진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익혀도 소용없다’ , ‘바다 생선이 더 위험하다’는 식의 괴이한 소문도 난무하는데요. 얼마나 맞는지 짚어봤습니다. 바다 생선을 먹으면 위험하다?이번 콜레라의 원인이 오염된 바닷물인 것은 사실입니다. 정부는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유전자 끼리끼리’를 핵심으로 하는 유전적 근연도 이론을 확립한 윌리엄 해밀턴은 드디어 연구 성과를 집대성해 학술지에 발표했다. 그런데 얼마 안 돼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자신의 이론이 다른 사람에 의해, 탐탁치 않은 이름이 붙은 채 소개되고 있었다!지난 시간에 우리는 유전적 근연도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난 8월 24일, 한 유명 커뮤니티에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이 충전 중에 폭발했다는 글이 올라왔다. 그로부터 6일 뒤 두 번째, 세 번째 폭발 사고가 이어졌고, 현재(9월 21일 기준)까지 국내외 서비스 센터에 접수된 사고만 100건이 넘는다. 이전에도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의 배터리 발화 문제는 있었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머리 큰 사람과 짱구처럼 뒷머리만 큰 사람 중 누가 더 똑똑할까. 이건 우문이다. 지능은 머리 크기나 모양보다는 뇌 주름과 관련 있다. 그렇다면 뇌 주름이 많을수록 똑똑할까? 놀랍게도 그것도 아니다. 오히려 조현병 환자가 정상인보다 뇌 주름이 훨씬 많다. 지나치게 많은 주름은 병과 관련이 있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edical Research Council·MRC)가 1947년에 세운 분자생물학연구소는 영어 약자로 ‘LMB’라고 불린다. 처음에는 캐번디시연구소 안에 설치한 연구 그룹이었지만, 곧 다양한 성과를 내며 독자적인 연구소로 성장했다. 기자가 LMB에 주목한 이유는, 2000~2015년 사이 노벨상 수상자 6명의 핵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