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수달연구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폭발적으로 늘어나
바다
의 해조류를 마구 먹어치운 거예요. 결국 생태계 균형이 깨진 이
바다
를 다시 복원하는 데 40년이 걸렸지요.”이처럼 전체 생태계의 질서를 유지시켜 주는 동물을 ‘핵심종’이라고 불러요. 수달은 우리나라 생태계의 대표 핵심종이랍니다. 수달을 지키는 것이 곧 생태계를 ... ...
Part 3. 페달을 밟아 하늘을 나는 인간동력 항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빠르게 배달하던 중 난관에 부딪쳤어. 자전거로는 넘을 수 없는 아주 큰 산과 넓은
바다
를 만난 거야. 다른 대륙으로 가기 위해서는 하늘을 훨훨 날 수 있는 비행기가 필요한데…. 과연 내 힘만으로 날아오를 수 있을까?인간동력 항공기의 날개가 커진 이유는?“난다! 난다!”지난 2015년 가을 ... ...
[과학뉴스] 명왕성 아래
바다
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매우 낮기 때문이지요.연구에 참여한 MIT 리차드 빈젤 연구원은 “앞으로 명왕성 아래
바다
가 존재한다는 확실한 증거를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Part 2. 지구의 마법같은 진화 실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그 후 약 5억 4000만 년 전부터 단단한 외골격과 커다란 눈을 갖고 있는 절지동물들이
바다
속을 누비는 ‘고생대’가 시작됐어요. 그리고 고생대 초기이자 캄브리아기 중기에 해당하는 약 5억 2000만 년 전부터 5억 500년 전까지, 지구 역사상 가장 희한한 동물들의 집합인 ‘버제스 셰일 동물군’이 ... ...
Part 4. 여기로 가 보자! 신종 발견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또 다른 장소는 사람의 발이 아예 닿지 않았던 곳이에요. 예를 들어 수심 200m 이하의 깊은
바다
인 심해는 고성능 잠수함이 개발되기 전까지 사람이 들어가거나 들여다볼 수도 없는 지역이었어요. 이 때문에 생물도 거의 발견되지 못했어요. 심해 생물은 현재까지 약 3%가 알려진 상태로, 나머지 97%는 ... ...
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스캐맨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신비한 동물을 찾다 보니 머글 세계의 신종 탐험가들도 만날 수 있었어. 그들도 나처럼 그저 신비한 동물을 찾는 것이 좋아서 나선 걸까? 아니면 머글 세계의 신비한 동물은 더 큰 의미를 갖고 있는 걸까?신비한 동물은 ‘잃어버린 고리’신종 연구는 생태계를 이해하는 첫 번째 단계이자 생물다양 ... ...
Part 3. 폭발적인 진화의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절지동물은 대부분 여러 개의 홑눈이 겹쳐진 겹눈을 갖고 있어요. 이 덕분에 어두운
바다
속에서도 먹잇감을 찾고, 포식자를 미리 피할 수 있게 되었어요. 그런데 겹눈은 고생대 캄브리아기, 즉 생물 폭발 시기부터 등장해요. 고생물 학자들은 생물이 복잡한 형태가 되며 눈이 생겨났고, 눈이 다시 ... ...
[과학뉴스] 18년간
바다
를 감시한 로봇 홍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홍합 중에 ‘스파이’가 있었어요! 바로 18년간 전세계에서 기후 변화를 지켜 본 ‘로봇 홍합’이랍니다.미국 노스이스턴대 연구팀은 18년 전 실제 홍합과 겉모습이 똑같이 생긴 ‘로봇 홍합’을 만들었어요. 로봇 안에는 온도계와 배터리, 데이터 수집기가 들어 있지요.홍합은 외부의 빛과 열에 따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이를 따라 위에 떠 있는 판도 함께 움직인다고 주장했지요. 후에 다른 과학자들이 깊은
바다
에서 맨틀 물질이 올라오는 현상을 발견하며 이 주장은 거의 정설로 받아들여졌답니다. 목포자연사박물관에 모인 친구들은 섭섭박사님의 자세한 설명에 따라 지층 모형과 판 모형들을 만들었어요.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16 UN청소년환경총회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2016년도에서야 모든 육상폐기물의 해양 투기가 전면 금지됐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바다
쓰레기를 강하게 제재하면 좋겠습니다. 이번 활동을 통해 지구와 인간의 건강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았습니다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