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다"(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상괭이 떼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정지! 정지!”국립공원연구원 유류오염연구센터 이규성 팀장님이 배를 멈춰 세웠어요. 그리곤 왼손을 뻗어 앞쪽을 가리켰죠. 팀장님이 가리킨 곳엔 상괭이 두 ... 않을까요? 그런 날이 올 때까지 상괭이들에게 꾸준히 관심 가져 주시길 바라며, 지금까지 바다뉴스~, 나꽃게 기자였습니다 ... ...
- [쇼킹 사이언스] 바다 속에서 별이 반짝반짝~! 야광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대만 사진작가 윌 호는 몰디브로 신혼여행을 갔다가 엄청난 광경을 보게 돼요. 바닷물에 반짝이는 별들이 쏟아져 있었던 거예요! 아름다운 광경을 놓칠 수 없었던 윌 호는 그 풍경을 사진으로 담았죠. 그런데 왜 유독 이곳의 바닷물은 반짝이는 걸까요? 정말 별이 쏟아지기라도 한 걸까요?몰디브 바 ... ...
- Intro. 강아지 번식공장 OUT I♥반려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난 ‘오이’라고 해. 귀엽고 깜찍한 반려견이지. 여름을 맞아서 가족들과 함께 동해바다로 휴가를 왔어. 새로운 곳에 오니 냄새 맡을 것도 많고 구경할 것도 많아서 신이 났지. 그런데 잠깐만!우리 가족은 어디 갔지? 잠시 한눈을 판 사이에 우리 가족이 보이질 않네? 설마…, 가족들이 날 버린 걸까? ... ...
- [가상인터뷰] 두 달 동안 쉬지 않고 훨훨~! 큰군함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가능하지요.저는 따뜻한 지역의 바다 주변에서 사는데, 주로 태평양 같은 열대 지방의 바다에서 많이 볼 수 있답니다. 하지만, 제 깃털엔 방수 기능이 없어서 물에 빠지는 걸 조심해야 해요.일리 : 네 비행 실력이 궁금해!큰군함조 : 저는 제 비행 실력에 자부심을 갖고 있어요. 빠른 활강과 비상이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오므리며 실제 문어처럼 헤엄치기도 하지요.라스키 교수 연구팀은 “산호 또는 다른 바다 생물의 생태를 연구하는 데 문어 로봇을 쓸 수 있다”며, “앞으로 물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어요.두족류의 시대가 다가온다는 우리 아빠 말이 맞지? 후훗! ... ...
- [핫이슈 ➊] 아이스에이지 지구대충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있던 천체들을 차례로 박살내요. 이 때문에 지구에는 작은 소행성 파편들이 쏟아지고, 바다의 밀물과 썰물이 함께 멈추어 버리게 되지요.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요?달이 지구의 중력에 붙잡혀 있는 것처럼, 달의 중력도 지구를 끌어당기고 있어요. 지각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바닷물이 더 큰 ... ...
- 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를 조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바다에 원래 있던 짠물 위에 동동 떠 있게 됐지요.원래 북아메리카 쪽에서는 찬 바닷물이 바다 밑으로 가라 앉아 적도 쪽으로 내려가고, 적도에서 데워진 물은 위로 올라오며 지구의 열이 골고루 순환되고 있었어요. 그런데 빙하 물이 바닷물 위에 계속 떠 있으면서 바닷물의 순환이 멈춰 버렸어요. ... ...
- 친환경 비행기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ㄴ’자 모양의 날개를 붙이는 방법을 생각해 냈지요. 요트 아래에 날개를 붙인 채로 바다를 달리면 비행기가 날 때와 비슷한 상황이 일어나요. 수평 모양의 날개에 부딪힌 물은 날개 위아래로 나뉘어 흐르고, 아래쪽의 수압이 위쪽보다 커져요. 이런 수압 차이 때문에 날개 아래쪽에서 요트를 위로 ... ...
- [과학뉴스] 사라지는 생물을 디지털로 기억하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커서 원판에 들어갈 수 없는 생물은 휴대용 3D 스캐너로 촬영할 예정이다.연구팀은 바다거북이나 개구리처럼 위험하지 않은 동물 종부터 작업하고 있다. 얼시크 교수는 “지구의 생물 다양성을 디지털로 기록하는 작업은 후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치솟았으며, 100km3가 넘는 분출물이 백두산 주변에 수십 m 두께로 쌓였다. 화산재는 동해 바다 속에 약 10cm, 일본 홋카이도와 혼슈 북부지역에도 약 5cm가량 퇴적됐다. 멀리 그린란드 빙하 속에서도 백두산 화산재의 유리조각이 발견됐다. 밀레니엄 분화 이후 백두산은 100년에 1~3번씩 분화를 해왔다.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