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어진 환경 고려해 우수한 학생 선발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경시대회에 나가서 상을 받았는지, 받은 상이 큰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자신에게 어떤
성과
가 있었는지가 중요하다.대학이 생각하는 학생상에 대해 일선 학교와의 간극이 크다. 그 사이를 좁히기 위한 대책은? 일선 학교를 방문해 서울대가 원하는 학생상을 전달하고 공유하려 애쓰고 있다. 지난 ... ...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수상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은 2009년의 열 가지 과학적
성과
중 하나로 그가 증명한 ‘근본 보조정리(fundamental lemma)’를 선정했을 정도다. 근본 보조정리란 정수론과 군론이란 수학의 두 영역이 구조적으로 동일한 원리에 기반함을 밝힌 이론으로 상당히 고차원적인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개선하거나 별도의 프로그램을 만들지 않고도 작은 아이디어를 적용함으로써 빛나는
성과
를 얻을 수 있었다.낮은 에너지로도 선명한 결과 내는 2광자흡수 현미경최근 연구단은 ‘2광자흡수 현상’을 이용한 고분해능 현미경을 만들고 있다. 2광자흡수란 예를 들어 파장 300nm의 광자를 흡수하는 ... ...
김빛내리 교수 ‘셀’지 편집위원에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연구해 국제과학논문인용색인(SCI)급 국제학술지에 49편의 논문을 발표한 김 교수의 연구
성과
를 높이 평가했다. 김 교수는 앞으로 셀에 제출된 논문을 심사하고 관련 연구 분야에 자문을 하게 된다. 김 교수는 이에 앞선 1월 5일 현택환(46)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함께 서울대 최초 ‘중견 ... ...
인간공학을 연구할 수 있는 분야는?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일할 수 있는 분야는 무궁무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웰빙을 강조하는 시대에 사용편의
성과
디자인을 향상시켜줄 인간공학자는 꼭 필요한 전문가입니다. 생활의 편리함의 추구를 넘어 삶의 가치를 높이는 데 주목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공학에 대한 전망은 밝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글 ... ...
한국 원전 첫 수출, 숨은 비결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해외 수주전에서 한국과 경쟁하는 나라는 주로 프랑스와 일본이다. 이들 원전은 안전
성과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개발돼 수명이나 내진 강도, 연료 손상 가능성, 제어 방법이 거의 같다.하지만 APR1400은 다른 원전과 뚜렷이 다른 점이 있다. 다른 원전은 냉각유로가 4개지만 APR14 ... ...
태양보다 200배 큰 별 폭발 장면 잡았다 !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때문이다. 수소까지 포함한 별의 초기 질량은 태양질량의 200여 배로 추정된다. 이 관측
성과
는 지금까지 이론적으로만 그 존재가 예측됐던, 빅뱅 직후 존재했을 것으로 기대되는, 질량이 매우 큰 별들의 존재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업적이다.물론 초신성 2007bi 폭발이 우주초기 별의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주요 먹잇감인 멧돼지와 사슴의 사냥도 제한적으로만 허용했다. 엄격한 보호조치는
성과
가 좋았다. 세계의 다른 지역 호랑이는 모두 감소하고 있을 때 극동러시아의 호랑이만 번성하게 됐다.하지만 1990년대 초에 소련이 붕괴하면서 중국과의 국경이 열리자 또 다시 밀렵이 성행했다. 중국에서는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학년제로 운영된다. R&E 프로그램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몇몇 대학과 연계해 연구
성과
도 내고 있다. 2011학년도부터는 과학고에서도 일부 PT와 AP과정을 적용하기로 한 만큼 향후 영재학교와 교육과정이 거의 흡사해지리라 예측된다. 과학고 졸업생 80% 이상이 2학년 조기졸업을 통해 수시전형으로 ... ...
제3의 불 밝히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다국 공동체로 나아가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핵재료연구실은 국제기구를 통해 연구
성과
를 공유하고 리드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우리의 원자력 기술이 세계화에 앞장서고 국제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게 큰 자부심이죠.”아직까지 ‘핵주권’ 제약에 의해 구현이 늦춰진 기술이 많지만 점차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