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의 꿈틀거림까지 영상에 담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물리학, 생물학, 의학 등 여러 학문의 융합을 통해 더 큰
성과
를 얻을 수 있다고 믿고 있는 송 교수는 바이오광학영상센터의 성공 여부도 학제간 협동연구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 ...
“사슴벌레 기르는 SW로 아프리카 굶주림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된다.MS서 자금 지원 검토, 내년 시범 보급할 계획와프리팀이 대회 주요 부문 우승이라는
성과
를 거둔 배경에는 밤낮을 가리지 않은 노력이 있었다. 인하대의 한 동아리방에서 매일 모여 준비를 한 이들은 지난 4월부터 대회에 참가했던 7월 초까지 손꼽을 수 없을 정도로 자주 밤을 자주 샜다. 대개 ... ...
공학에서 찾는 경영의 지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세계 50대 연구자’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이는 최근 5년간의 논문 게재 수와 연구
성과
를 바탕으로 평가한 것으로 우리나라 연구자로는 처음으로 선정됐다. 또한 기술경영경영연구실은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산업공학에서는 유일하게 국가지정연구실로 지정되기도 했다. 박 교수와 그의 ... ...
기술과 경영의 다리가 되어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다녀간 선배와 현재 몸 담고 있는 많은 연구원들의 밤낮 없는 노력이 일궈낸
성과
를 객관적으로 그리고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쾌거라고 할 수 있다.오랫동안 이과와 문과는 서로 다른 방법으로 다른 세계를 구축해왔다. 공학과 경영학은 서로 다른 기준으로 다른 해석을 해왔고 엔지니어와 경영자는 ... ...
노벨상 수상자가 말하는 과학의 가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책을 왜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 저자는 역사가 낳은 천재들의 이야기와 최신 뇌과학
성과
를 통해 조목조목 설득하고 있다.수학의 재미박종하, 송명진 지음 | 랜덤하우스 | 290쪽 | 1만 2000원많은 사람들이 수학을 ‘계산의 도구’로 여긴다. 하지만 KAIST 출신 부부 수학자인 저자들은 ‘생각의 ... ...
첨단장비 활용해 미래 과학자 키우는 엑스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마련돼 있다.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험실을 개방해 과학자들이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
, 장비를 사용하는 방법, 이 장비를 통해 앞으로 할 수 있는 연구 등을 소개한다.참가하고 싶은 학생들은 엑스사이언스 홈페이지(xscience.kbsi.re.kr)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신청할 수 있다. 지금 신청해서 참여할 수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추모행사를 연다. 하지만 이를 알고 찾아오는 이는 그다지 많지 않단다. 육종기술의 가능
성과
필요성을 몸소 보여준 우 박사에 대한 관심이 너무 부족한 건 아닐까. “육종기술 체험, 강원도로 오세요”우장춘 박사가 과거의 육종기술 전도사였다면 요즘은 이 과학자가 육종기술을 알리는 데 발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옵티컬 레터스’와 같은 광학 분야 전문지를 발간한다. 학술적으로 뛰어난 연구
성과
가 있어야 발언권도 얻을 수 있는 미국 학회에서 이 단장이 기획위원을 맡은 것은 전 세계 연구자들로부터 인정받았다는 증거인 셈이다. 이 단장은 한국광학회의 편집이사와 한국 정보디스플레이학회의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17년이라는 세월과 막대한 경비가 들었다.오랜 산고의 과정이 필요한 육종학 연구는 빠른
성과
를 강조하는 현대 과학계의 분위기에 밀려 위기를 맞고 있다. 땡볕 아래서 씨를 심고 작물을 가꾸며 손으로 일일이 꽃가루를 옮겨야 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보니 젊은 과학자들이 점점 육종학자의 길을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개발돼 시장에 나왔다. 미국산 사과 2종을 교배해 우리 풍토에 알맞은 개체를 선발한
성과
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술지원과 신용억 박사는 “다른 사과보다 빨리 익고 단단해 유통에 유리한 장점도 있다”고 말했다.딸기 - 일본서 왔지만 점점 토착화딸기는 일본에서 건너와 1960년대부터 재배되기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