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리"(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리적 사고력, 어떻게 키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해결되지 않는다. 주어진 제시문에 대한 올바른 독해는 물론, 구체적 혹은 추상적 과학 원리와 개념을 통합적으로 통찰하는 시각을 키워야 해결이 가능하다. 아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아는 내용을 다른 교과목의 아는 내용과 연관 시켜서 볼 수 있는 지적 호기심을 키울 수 있어야 한다 ... ...
- [매스미디어]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방정식’비행정은 활주로를 달리는 비행기와 뜨고 내리는 장소가 다를 뿐 나는 원리는 같습니다. 이들이 개발된 건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다니엘 베르누이 덕분입니다. 베르누이는 공기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베르누이 방정식’을 만들었습니다. 공기 입자는 끊임없이 움직이며 주변 물체에 ... ...
- [가상인터뷰] 반사망원경을 품고 있는 가리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알려져 있었어요. 하지만 그 구조와 원리는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답니다. 일리: 그 원리가 대체 뭔데?가리비: 이스라엘 바이즈만 과학연구소의 벤저민 팔머 박사는 가리비의 눈을 얼린 후, 잘게 썰어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그 결과, 가리비 눈에 렌즈 대신 거울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지요. ... ...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동하기 때문에 넘어지지 않고 방향을 돌릴 수 있답니다. 스키 로봇도 이와 비슷한 원리로 스키를 타요. 눈의 역할을 하는 카메라와 뇌를 담당하는 인공지능, 감각 기관을 대신하는 센서, 몸을 움직이는 모터 등을 이용하지요. 카메라가 영상을 찍으면 이를 인공지능이 분석해서 최적의 경로를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 센서를 이용해 건물의 구조적인 진동을 측정해 클라우드 플랫폼에 전송하는 원리다. LF시스템이라는 벤처기업은 ‘퀘이크 세이버’라는 지진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건물 내에서 문이 닫혀 탈출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을 개발하기도 했다. What are earthquakes good for? 지진이 주는 ... ...
- [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간격이 일정하겠지만, 스톤이 회전해서 경로가 휘어지면 측정 거리가 달라진다. 이 원리를 이용해 레이저 측정기 사이의 간격을 좁히면서 측정하면 특정한 힘과 속도로 스톤을 던졌을 때 최적의 브레이킹 포인트를 찾아낼 수 있다. 이 책임연구위원은 “대표팀 선수들이 브레이킹 포인트를 직접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위아래로 움직이면 다른 쪽 다리와의 높이 차이가 생기면서 방향 전환이 이뤄지는 원리다. 기문 인식은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해 스테레오 시스템으로 설계했다. 사람의 눈처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카메라를 설치한 뒤 하나의 물체(기문)에 초점을 맞추도록 설정한 시스템이다. 카메라가 동시에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생성된 테스토스테론에서 C-12(분자량이 12인 탄소), C-13, C-14의 비율이 서로 다르다는 원리를 이용했다. 그밖에 DCC 연구팀은 인간 융모성 생식선 자극 호르몬(HCG), 황체형성 호르몬(LH) 등의 금지약물을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해 찾아내는 방법도 개발했다. 도핑 약물을 항원으로 인식하는 항체에 자성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약한 알코올 쪽에서 표면장력이 강한 물 쪽으로 입자들이 끌려가기 때문이다. 같은 원리를 분무 형태의 약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분무형 약제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다. 인체의 내벽은 점도가 높아서 약물을 구석구석 퍼뜨리기 위해서는 표면장력을 낮추는 계면활성 성분이 ... ...
- [인터뷰] “왜?”라고 질문하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것인지, 실험 결과는 왜 이렇게 나왔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것이다. 기계를 제시하고 작동 원리와 문제점 해결을 물을 수도 있다. 김 입학학생처장은 “제시되는 문제 자체는 읽으면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답이 하나로 정해져있지 않고 지원자에 따라 다양한 답이 나올 수 있는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