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리"(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혼밥족을 부탁해, 3대 간편식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마그네슘으로 구성된 발열체가 소금물과 만나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열이 발생하는 원리를 적용했다”며 “줄을 잡아 당길 때 발열용액 봉지가 찢어지며 물이 새어 나오고, 이때 발열 반응이 시작된다”고 설명했다. 우주식_ 간편식의 ‘원조’제한된 공간, 급변하는 온도, 무중력, 높은 ... ...
- 두리안과 잭푸르트, 반전 매력 속으로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구린 냄새와 못난 모습으로 사람들이 피했던 과일이 가장 잘 보이는 곳에 수학의 원리를 한껏 뽐내고 있다는 사실 말이에요. 어쩌면 이 두 과일은 세상 모든 것에 수학이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싶었는지도 모릅니다. 여러분도 한번 찾아보세요. 피타고라스가 말했듯이 모든 것은 수학이니까요 ... ...
- [수학공작실] 합동과 대칭을 이용해 만든 나만의 하트 무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하트는 덴마크의 국기 모양을 응용해 만든 하트에서 출발했다. 작도와 합동, 대칭 원리가 더해져 지금은 수학 시간에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는 수업자료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 크리스마스 장식으로도 쓰이고 있다. 이처럼 합동과 대칭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찾을 수 있는 주제이며 ...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전시됐답니다. 데니스 홍 교수님은 직접 여러 로봇들을 시연해 보이며 로봇의 특징과 원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셨어요. “기존의 휴머노이드 로봇은 왜 이렇게 느리고 잘 넘어질까요? 사람처럼 걷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걸을 때 골반이 흔들립니다. 돌림힘이 생기기 때문이에요. 사람과 달리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중 선체 등이 좋은 사례다. 뿐만 아니라 레오나르도는 물리학과 기계 장치의 숨겨진 원리에도 관심이 깊었다. 기계를 통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노동력을 절감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그는 볼 베어링 시스템, 코일 스프링 같은 오늘날 기계 장치에도 빠지지 않고 쓰이는 유명한 동력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nm는 10억 분의 1m)다. 외부의 조작이나 별도의 에너지 없이 DNA 두 가닥이 서로 결합하는 원리를 적용해 혼자 걸어 다닐 수 있다. 비록실험실 수준이지만, 원하는 물질을 찾아 들어 올려 목표한 지점에 내려놓는 임무에도 성공했다. 첸 교수는 “혈류나 세포에 약물을 운송하고, 암세포와 같은 몸 속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복사선이 91억9263만1770번 진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1초로 정의했다. 광격자 시계의 원리도 동일하다. 다만 사용하는 원자가 다르다. 이터븀(Yb), 스트론튬(Sr), 알루미늄(Al) 등이 대표적이다. 표준연의 광격자 시계는 이터븀을 이용한다. 이들은 같은 시간 동안 세슘보다 더 많이 진동한다. 다시 말해 ... ...
- [과학뉴스] 조명처럼 잎살에루시페린빛이 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약 4시간 동안 책을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빛을 냈지요. 연구팀은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원리를 이용했어요. 반딧불이는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이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와 만나면서 빛을 내요. 연구팀은 이 두 물질과 루시페린의 기능을 돕는 보조효소까지 총 세 가지 물질을 서로 다른 나노 ... ...
- [쇼킹 사이언스] 폭발하는 화산에서 푸른 빛이 번쩍! 화산번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거랍니다. 구름 속 얼음 알갱이가 부딪히면서 정전기가 쌓여 번개가 생기는 것과 같은 원리예요. 2014년, 독일 루드비히맥시밀란스대학교 연구팀은 연구실에서 직접 화산번개를 일으키는 장치를 만들어 화산번개가 생기는 조건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화산재의 입자가 고울수록 화산번개가 더 잘 ... ...
- [과학뉴스] 터널 화재 초기 진압 신기술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포가 생기면서 산소를 막고, 기포가 증발하며 기화열 냉각을 통해 열기를 낮추는 원리다. 연구팀이 철도 모형으로 화재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일반적인 살수법에 비해 진압이 훨씬 쉬웠고 소화용수의 사용량도 3분의 1로 줄었다. 또한 기포가 입자와 유독 가스를 포집해 사람이 질식할 위험도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