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랫랜드와 4차원 도형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높은 차원의 플랫랜드가 존재함을 알려주려고 하지만, 그 세계에 사는 도형들은 생각의
한계
를 뛰어넘지 못한다.이번에는 스페이스랜드(입체도형)의 구(Sphere)가 플랫랜드를 방문해 3차원 세계에 대해 설명한다. 주인공인 정사각형은 라인랜드나 포인트랜드의 도형들이 그랬듯이 처음에는 3차원 ... ...
[6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쓰려니 뭘 쓸지 도통 떠오르지 않는다는 학생이 많습니다. 물론 전문기자가 아니니
한계
가 있긴 합니다. 하지만 조금만 눈을 돌려 보면 주변에는 온통 과학뉴스꺼리가 있답니다. 초이스에 뽑힌 추가연(서울 진선여고 2) 학생의 기사가 좋은 예입니다. 추가연 학생은 이미 보도된 사건 기사를 과학적 ... ...
10시 이전, 2시 이후 자외선 샤워 즐기세요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음식으로 먹으면 되지 않을까. 문제는 우리 몸에 필요한 비타민D를 식품으로 먹는 데
한계
가 있다는 것이다.대한골대사학회는 우리 몸의 비타민D를 충분하게 유지하기 위해 하루 가량의 비타민D 섭취를 권장한다. 그러나 비타민D가 함유된 식품이 많지 않고 일상적인 식사로는 200IU 이상을 먹기 ... ...
들리는가, 용암이 울부짖는 소리가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뿌리를 내린 야자수 나무의 녹색 잎이 그려내는 색의 조화는 이국적이라는 표현의
한계
를 넘어선다. 검은 모래를 한줌 쥐어 살펴보았다. 작지만 각진 표면에 유리처럼 매끄러운 질감이 느껴진다. 검은 모래의 고향은 어디일까. 용광로처럼 끌어 오르는 분화구임에 틀림없다. 검은 모래 해변에서 ... ...
류현진의 느린 체인지업에 왜 타자는 헛스윙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로 체인지업에 이어 두 번째고, TV 화면으로는 더 위력적으로 보인다. 이는 PFX라는 기록의
한계
때문이다.PFX는 공이 투수의 손을 떠난 지점에서 홈 플레이트가 시작되는 지점 직전까지의 움직임을 측정한다. 그런데 류현진의 슬라이더는 최대한 꺾이지 않다가 홈플레이트 근처에서 크게 변화한다. ... ...
내성균 리턴즈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약 개발을 위해 기전을 밝히려는 연구도 활발하다. 하지만 아직
한계
가 많다. 이영선 과장은 “최근 5년 사이 미국 FDA에서 승인 받은 항생제는 단 한 건뿐”이라고 말했다. 최근 핫이슈인 카바페넴 내성균은 아직 신약 개발이 전세계적으로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군비 경쟁은 ... ...
3000℃에서 녹아내린 아이언맨의 새 슈트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가능하죠”박신석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의 대답이다. 영화처럼 만들기에는 아직
한계
가 많지만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 ‘뇌-기계 인터페이스(BMI)’ 기술 덕분이다. 사람이 어떤 생각을 하면 뇌에 흐르는 전기신호가 바뀐다. 이 전기신호(뇌파)를 포착해 기계로 보내면 생각한대로 움직일 수 있다. ... ...
PART 1. 촬영 현장의 두뇌 싸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영상과 소리만으로 영화가 진짜 현실처럼, 또는 현실 이상의 현실로 보이기에는
한계
가 있다. 마지막 장치는 ‘색’과 ‘조명’이다. 타는 듯한 붉은 노을에 감탄하며 스마트폰 카메라 안에 그 모습을 담으려는 순간, 액정화면 너머로 보이는 노을은 내 눈에 보이는 노을이 아니다. 하는 수없이 일단 ... ...
수학 7대 난제 정말 풀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보여야 하는 문제로 수학자들이 풀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물리학자가 접근하는 데
한계
가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수학자가 풀 수 있는 주제도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이필진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교수는 “7대 난제 중 유일하게 끝까지 풀리지 않은 채 남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이후 팽창하면서 공간 사이가 크게 벌어졌고, 서로가 서로를 ‘참조’할 수 있는
한계
를 크게 벗어났다.부산에서 나룻배 두 개를 띄웠다고 해보자. 둘은 서로 손짓 발짓을 하며 속도를 통일시키기로 했다. 그런데 두 배는 가는 방향이 서로 달라서 결국 멀어지게 됐고 수신호를 교환할 수 없게 됐다.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