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물위성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면에 뭔가 그림 같은 게 그려져 있더라 이겁니다. 사진이 자세하지 않아서 확대해서 봐도
한계
가 있었다는데, 그래서 몇 달 후에 다시 우주선 한 대를 접근시켰답니다. 첫 만남 때보다 좀 더 가까이요. 그리고 그 전 사진보다 좀 더 자세한 사진을 찍었는데, 그 사진을 보는 순간 지상 우주국에서 긴 ... ...
새 학기 어떻게 시작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해낼 수 없습니다. 능력이나 의지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인간인 이상 가질 수 밖에 없는
한계
입니다.어떤 유행가 가사 중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서 당신의 쉴 곳 없네 내 속엔 헛된 바람들로 당신의 편할 곳 없네….” 이 가사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해 봅시다. 지금 ... ...
가장 특별한 스페셜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국가대표팀 코치.국가대표팀 선수들을 향한 응원 메시지스페셜올림픽은 자기의
한계
를 넘어서는 노력을 격려하는 대회이기 때문에 도전하는 선수 여러분 모두가 승리자예요.- 나경원 평창 동계스페셜 올림픽 조직위원장.세계적 스포츠 스타가 되는 데 장애는 더 이상 장애가 아닙니다! 저도 ... ...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유전자는 산업적으로도 매우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사람 코의
한계
를 넘을 수 있는 ‘전자코’를 개발하고 있다. 전자코는 사람이 직접 맡기 어려운 유독가스, 해로운 음식이나 공기 중 오염물질의 검출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돼지에게서 발견된 1300여개 후각수용체 단백질의 기능이 ... ...
해외 식물 자원 대전에 다 모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그러나 우리나라는 땅이 좁고 생물종 다양성이 낮다. 식물은 고작 4000여 종 뿐이다. 이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 생명연은 생물자원이 풍부하지만 기술이 부족한 나라와 협력을 맺고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중심에 해외생물소재허브센터가 있다. 해외생물소재허브센터는 현재 중국,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변화를 가져오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현상들을 밝히는 데 기존의 수학은
한계
에 부딪치게 됐다.그러던 중 1973년, 프랑스의 수학자 르네 톰이 카타스트로피 이론을 제안했다. 카타스트로피란 그리스어 ‘katastrophe’에서 온 말로, ‘ 돌연히 나타나는 광범위한 큰 변동’이란 뜻이다. 이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새·곤충 모방 비행체 중 가장 작은 크기는 50cm 정도다. 기술의
한계
때문에 아직은 더 소형화되지 못하고 있다. 미래의 무인기는 어떤 모습일까.나노 기술이 발전하면 핵심 부품의 초소형화, 초경량화가 이뤄진다. 무인기 크기가 더욱 작아져 벌새 크기로, 나아가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탄소화되며 열이 철재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그러나 내화재가 열을 차단하는 시간은
한계
가 있다. 보통 약 1시간 가량 열을 차단한다. 내화재가 더 이상 버티지 못하는 상황이 되면 철재에 열이 전달되고 휘기 시작하며 서서히 무너져 내려 한순간에 건물 전체가 넘어질 수도 있다.우리 집은 화재에 ... ...
INTRO. NEO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정점에 달하면 모순도 커진다고 했던가.역설적으로 인류는 인간게놈프로젝트에서 DNA의
한계
를 봤다.인간이 지닌 유전자는 고작 2만 5000개. 복잡한 생명현상을 일으키기에는 터무니없이 적은 수다.더구나 전체 DNA의 거의 대부분은 유전자를 만들지도 않는다.이제 인류는 DNA의 나머지 97%를 탐색하고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거리는 무려 100m. 물속에서 헤엄치는 물뱀도 있을 정도로 가늘고 긴 몸으로 움직이는 데
한계
가 없다(물뱀은 바다뱀의 일종으로 강이나 개울에서 헤엄치는 뱀은 물뱀이 아니다).뛰어난 환경 적응력 덕분에 뱀은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동물이다. 물론 도심에서 보기 어려워졌지만 뱀은 분명 유연함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