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확인했는데, 거북선을 만든 나무와 진흙은 밀도가 비슷해서 구분하기가 어려워요. 이런
한계
를 뛰어넘는 첨단 장비와 해저 탐사에 쓰이는 시추 장비를 사용한다면 더 정밀하게 바닷속을 살필 수 있답니다. 역시 조선 최고의 명탐정답군! 여봐라~. 이제 내 거북선이 어디 있을지 알았으니, 어서 가서 ... ...
PART 2. 교통사고·도난사고 모두 막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있다. 아이폰을 자동차 카오디오에 연결해 사용하는 방식이지만 오디오만 가능하다는 게
한계
다.두 번째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헤드유닛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 스마트폰과 자동차 헤드유닛은 테더링 방식으로 연결된다. 자동차 헤드유닛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 ...
소년, 위기에 처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일이 생겨서 만나지 못하는 주말을 내심 반기기 시작하는 자신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한계
가 다가온다는 느낌이 든 소년은 또다시 학문에 도움을 구했습니다. 그런데 그 결과가 의외였습니다. 흔히 장거리 연애는 힘들고 만족도가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장거리 ... ...
Welcome to 사이언스토이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산소뿐이니 정말 깨끗한 에너지 맞죠? 하지만 수소를 만들 때 전기에너지가 필요한 게
한계
점이죠. 앞으로는 더 효과적으로 물을 분해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답니다. 풍력발전기높은 산이나 바닷가에서 세찬 바람을 느껴 본 적이 있나요? 바람의 힘은 참 대단하죠. 예전부터 사람들은 이 힘을 잘 ... ...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을까?
한계
효용 체감의 법칙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인간의 만족감을 수치로 표현한 것을 경제학에서는 ‘
한계
혁명’이라고 부른다. 이
한계
혁명은 경제학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모든 상품의 수요를 가격이나 소비자의 소득, 선호에 따라 함수로 표현할 수 있게 됐고 마찬가지로 공급도 공급함수로 나타날 수 있게 됐다. 즉 인간의 모든 ... ...
PART 3. 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기껏 몇 년정도 인기를 누릴 것으로 생각했던 시절이 있었다.그러나 전기자동차의
한계
가 생각보다 커지고, 하이브리드 기술이 발달하면서 의외로 한동안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친환경 자동차의 대명사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커졌다. 한편에선 전기차에 필요한 전력도 결국 화석 연료로 만들어진다는 ...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초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이미 하고 있다.2012년 3월 미국과 호주 과학자들은 토륨이온(Th+)을 이용하면 광시계의
한계
보다 10배 더 정확한 시계를 만들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 시계를 이온 핵시계(ion nuclear clock)라고 한다. 이 시계가 구현된다면 3조 년 동안 1초가 어긋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온 핵시계는 이론적으로만 제시됐을 ... ...
Part 3. 깨물어서 안 아픈 손가락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낳을 수 있었다. 여자는 아무리 자원이 풍족해도 평생 낳을 수 있는 아이의 수에는
한계
가 있다.반대로 남자는 식구를 부양할 자원이 부족하면 결혼해 아이를 갖기가 어렵지만, 상대적으로 여자는 눈만 낮추면 어떻게든 결혼하기 쉽다. 따라서 부모는 형편이 좋을 때는 아들에게, 형편이 나쁠 때는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6년)에 백두산 화산 폭발 기록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런 기록은 없다. 전문가들이 이런
한계
를 자주 지적했지만 사람들은 폼페이의 최후를 연상해서인지 이 설을 쉬이 버리려 하지 않는다.사람들은 발해의 넓은 영토에 관심이 많다. 그런데 신라 통일 전후에 시작된 외계충격 현상은 발해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자책을 했다. 박사과정 5년차에 접어들면서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연구량과 체력적인
한계
때문에 힘들었다. 그때마다 동기부여를 받고, 핵심을 찌르는 한 말씀을 듣기 위해 더욱더 교수님을 괴롭혔다.필자는 성실하고 책임감 있는 학생들이 공대 대학원에 더욱더 많이 진학했으면 좋겠다.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