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우주도 인간의
한계
를 넘을 수 없다.이런
한계
는 컴퓨터의
한계
라기보다 인간의
한계
다. 사실 탄생 100주년에 즈음해, 필자는 튜링이 사회적인 소외 속에서 꿈꿨던 우주를 생각하고 있다. 튜링이 컴퓨터로 재현하려 한 우주는 물리적이고 비인간적인 공간이 아니라 아픔이 없는 순수한 공간이 ... ...
손 대면 톡 하고~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다른 사람이 응답 차원에서 함께 신체접촉을 해주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이 결론에
한계
가 있음을 인정했습니다. 재미있게도 부부가 됐을 때는 이런 행동의 일치가 정점에 다다르지만 신체접촉의 빈도는 줄어든다는 사실도 드러났습니다.깊은 사이일수록 여자가 적극적누가 신체접촉을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변신로봇이 팔을 들수 있을지 몰라. 하지만 더 무거운 걸 들거나 큰 힘을 쓰기에는
한계
가 있어.사람의 팔은 자기 무게의 수십 배에 달하는 무게도 들 수 있단다. 동물에게는 유연하고 힘 센 근육이 있기 때문이지. 변신로봇에게도 사람 같은 근육을 만들어 준다면 사람처럼 몸을 자연스럽게 움직일 ... ...
종이 한 장으로 접는 예술, Origami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불린다. 그가 증명하고 발견한 종이접기에 관한 수학과 공학 이론은 종이접기의
한계
를 넘어섰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랭 박사의 작품 ‘나비’의 제작 과정을 자세히 살펴 보자! 특별인터뷰로버트 제이 랭 박사의 작업실Happy Folding!"오리가미 세계에 오신 여러분을 진심으로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다중우주 이론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 학자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아인슈타인, 레너스 서스킨트, 폴데이비스, 로저 펜로즈, 스티븐 호킹.]누벼이은 다중우주‘무한’은 쉽지 ...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Part2. 끈이론 다중우주Part3. 비판과
한계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출발해 2만 5000여 품종을 만들 만큼 교배육종의 힘은 요술봉처럼 강력하지만 여러
한계
점이 있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김원희 농업연구관은 “향기가 없는 장미가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꽃이 예쁜 품종끼리만 교배를 하다 보니 그만 향기가 사라진 것이다. 김 연구관은 “원하고자 하는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소리나 흔적도 없이 나타나 공격하는 무시무시한 무기가 될 수 있다.그러나 아직
한계
도 있다. 현대과학이 만들 수 있는 메타물질은 빛이든 소리든 단일 주파수에만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주파수를 갖고 있는 빛과 소리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투명망토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이 교수는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오래전 반도체의
한계
라는 말이 유행했지만 반도체 기술자들은 나노 공정에 진입하며 그
한계
를 뛰어넘었다. 22나노 공정이라는 막다른 길에 도달하자 설계 구조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3D 트랜지스터 다음은 무엇일까. 어떤 구조가 등장할지, 아예 반도체 물질을 바꿀지 지금으로선 예상하기 어렵다.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관측 가능한 우주 범위 밖에서 우주가 멈춘다는 증거는 없다. 이런 우주가 하나하나의 우주를 구성한다고 보면 전체가 다중우주를 이룬다.]특징 비슷한 우주가 반복된다1단계 ...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Part2. 끈이론 다중우주Part3. 비판과
한계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축했다 반복하면서 산소를 몸속으로 흡수합니다. 이런 호흡 방법은 몸집을 키우는 데
한계
가 있습니다.몸집이 크면 산소를 더 깊숙한 곳까지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에 몸집이 클수록 호흡이 비효율적이 됩니다. 이때 산소 농도가 짙으면 산소를 몸속 깊숙한 곳까지 받아들이기 더 쉬워지겠지요.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