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시 최고급 강철로 만든 타이타닉호가 파괴된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침몰한 이유 중 하나가 당시 강철주조기술의
한계
때문이었다. 채취한 샘플 분석 결과, 타이타닉호를 만드는 데 쓴 강철은 현대 강철보다 인과 황의 비율이 높고 망간의 비율이 낮았다. 이런 비율로 주조된 강철은 낮은 온도에서 연성(軟性)을 잃어 쉽게 깨진다. 사고당시 타이타닉호가 항해한 대서양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사고를 갖고 접근해야 개발이 가능한 에너지 산업이기에 쉽지 않다.물론 토륨 원전의
한계
도 분명히 있다. 황일순 교수는 “가속기 방식도 양성자를 쏴서 중성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반감기가 긴 방사성 핵종(장수명 핵종)이 생성된다”며 “대안으로 원자로 방식을 택하면 농축 우라늄이나 ... ...
“내 꿈은 내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공부하는 거지. 그런데 열정이 없이 그냥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에 가야겠다’ 하는 건
한계
가 있어. ‘좋은 대학에 왜 가야하지? 좋은 대학은 어디지? 거기 나오면 뭐하지? 취업하면 정말 행복할까?’ 그런 생각이 들거야.”“들죠. 그런데 저 꿈은 있었는데 부모님이 반대를 좀 하셨어요. 그 꿈을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
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혹시 자동차항공기연구반을 아세요?”과학동아 편집부로 한 통의 e메일이 도착했다. “혹시 자동차항공기연구반을 아세요?”로 시작한 메일은 동아리에서 작은 요트를 만들었고 시험운행을 끝마치고 이제 사람들에게 공개하려고 한다는 내용이었다.엥? 고등학교 과학동아리에서 요트를 만들었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오리라는 예상이었다. 오늘날 이 예측은 틀린 것으로 밝혀졌지만, 인구가 지구 자원의
한계
를 언제든 넘을 수 있다는 인식은 여전히 남아 있다.인류가 사용하는 자원, 에너지 양을 토지면적으로 환산한 ‘생태발자국’은 2010년 2.7gha(글로벌헥타르, 한 사람이 생존하기 위해 소모하는 지구 자원의 ... ...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교묘해졌다.디도스 공격이 가능한 이유는 홈페이지 접속 요청을 수용하는 서버 용량에
한계
가 있기 때문이다. 특정 홈페이지에 접속해 달라는 요청이 한꺼번에 몰리면 서버에 과부하가 걸리며 작동하지 않게 된다.[민주당 의원들이 디도스 사건 로그파일을 설명하고 있다.]keyword 4 제노비스 신드롬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만들기 어렵다. 한 덩어리에서 물건 하나가 나와 단색이라는
한계
도 있다. 그래서 모양이 복잡하고 알록달록한 물건은 쾌속조형방식으로만 인쇄할 수 있다.[미국 3차원 인쇄 회사 메이커봇의 씽오매틱에서 여인의 흉상을 인쇄하고 있다.]조립이 필요 없는 맞춤형 자전거미국 ... ...
예술이 예술인 물리적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관을 다른 관에서 약간 빼거나 더 끼워 넣어 길이를 조절한다. 하지만 관을 늘이는 데는
한계
가 있어서 연주자는 빠르고 세게 공기를 불어 넣는 방법으로 한두 옥타브를 올릴 수 있다(오버블로잉).이 책은 물리에 대한 흥미와 지식이 전혀 없는 사람에게는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공식을 쉽게 ... ...
학교생활기록부를 100배 더 알차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성적을 유지하자.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은 단순 수치로만 학생을 파악하는데서 오는
한계
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교과담당교사는 특별한 학생만을 기록하기 때문에 좋은 학습 태도로 수업에 임하고 좋은 성과를 낼 경우 좋은 기록을 받을 수 있다. 또 특정교과에 대한 열정과 잠재력이 드러날 수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켜졌다. 인슐린은 소나 돼지를 도축할 때 췌장을 수거해 추출했기 때문에 생산량에
한계
가 있었기 때문이다. 제약회사들은 화학적으로 인슐린을 합성하는 방법도 생각했으나 아미노산 51개로 이뤄진 복잡한 생체분자를 합성한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때 재조합DNA 기술이 나왔으니 주목을 받지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