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번 울린 노래도 다시 주울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판에 바늘로 새기고, 이를 다시 읽어내 소리로 되돌리는 방식이에요. 하지만 판의 크기에
한계
가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을 녹음하기는 어려웠지요. 얇고 긴 자기 테이프를 개발하면서 녹음할 수 있는 소리의 양이 훌쩍 늘어났답니다. 카세트테이프가 바로 이 자기 테이프를 이용한 음성 저장 ... ...
과학으로 야구 한판! 삼진왕 vs 홈런왕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라이벌들은 오늘 두 선수의 대결을 어떻게 예상하는지 이야기를 들어 보겠습니다잉~.
한계
를 뛰어 넘어라!안녕하세요? 저는 무쇠팔 투수 *최동원이에요! 일곱 번 중 네 번을 먼저 이겨야 우승하는 우리나라 프로야구 결승전에서 혼자 4승을 거둔 세계에서 유일한 기록을 가지고 있지요. 투수의 어깨는 ... ...
1박 2일 백령도의 보물을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해. 실제로 지난 1973년에는 북한이 서해 5도 주변 바다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면서 북방
한계
선을 넘어와 우리나라 함정과 충돌하는 사태도 있었어.천연기념물이 6개!군사적 요충지인만큼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덕에 서해 5도는 깨끗한 자연을 자랑하고 있어. 특히 백령도는 약 10억 년 전인 원생대 ... ...
왕자님의 인어 찾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위해서는 호흡이 우선 해결되어야 한다. 잠수할 때 쓰는 공기통은 무게도 무겁고, 용량에
한계
가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물에 들어가 있을 수 없다. 그래서 개발된 것이 ‘생체 모방형 산소공급 호흡장치’! ‘인공 아가미’로도 불리는 이 장치는 날아다니는 물벌을 본떠 만들어졌다.인공아가미는 ... ...
사랑으로 다시 쓰는 신 애완동물 과학백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4호
않도록 해야 한다.➍ 적절한 운동을 시킨다.집에만 있는 애완동물은 활동하는 데에
한계
가 있을 뿐 아니라 면역력도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데리고 나가 산책을 시켜야 더욱 건강해진다.➎ 늘 관심을 기울인다.애완동물은 사람과 함께 생활하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관심을 기울여야 ... ...
세계 최고 그린에너지섬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있다.제주도는 ‘삼다수’ 같이 화산암반수가 깨끗하기로 유명하다. 박 센터장은 “물은
한계
가 있는 자원이기 때문에 화산에서 나오는 깨끗한 물은 마시는 물로 쓰고 허드렛물은 빗물이나 바닷물을 담수로 만들어 쓰는 편이 더 낫다”고 말했다.바닷물에서 염분을 없애려면 역시 전기가 필요하다. ... ...
중국, 우주까지 차지하나 - 세계 3번째 무인우주선 도킹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4개의 중형 보조 부스터가 달린 창정 2호E를 개발했다. 2호E는 2~3t에 불과했던 운반능력의
한계
를 거의 10t까지 늘렸다. 하지만 1990년 이후 실시된 7번의 발사에서 2번을 실패하는 등 안정성이 문제가 돼 결국 중단하고, 대신 추력과 운반능력을 조금 줄이고 안전성을 높인(운반능력 8.4t) 창정 2호F를 ... ...
지구 속 뚫고 달리는 진공튜브열차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불가능하다.지난 10월 25일,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의 김동현 박사팀은 이런
한계
점을 극복하고 실제 크기의 52분의 1 정도인 모형열차를 진공터널에서 시속 약 700km로 달리게 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➊ 모형열차를 발사시키는 장치. 빨간 원통은 에어건에서 새어나간 공기를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가능성이 높다. 계통오차는 시계를 맞추는 것, 속도를 측정하는 것 등 측정계기의
한계
로 나오는 오차를 말한다. 계통오차를 크게 줄였지만 생각하지 못한 오차를 보정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윤천실 박사는 “연구진도 결과에 매우 놀라 온갖 방법으로 오류를 찾으려고 노력했다”며 “다른 ... ...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지금까지 사용해왔던 알루미늄만으로 감당하기엔 이미 소비자들이 원하는 속도와 양은
한계
에 다다랐다.김 교수는 금박을 입히듯이 구리를 반도체 기판 위에 얇게 도금하는 방식으로 구리나노와이어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와이어의 폭은 처음에는 15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이었지만 이제는 2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