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테리아를 연구하는 생물공학계의 뽀빠이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말이 절로 나오게 되지만박사님은‘절대아님!’을 강조해요.이상엽 박사는
미국
에서 생물화학공학으로 박사를 받고 온 뒤 군대를 가게 되었대요. 새로운 연구에 대한 기대로 부풀어 있었기에 군대 생활은 무척 힘든 시간이었지요. 하지만 오히려 그런 상황에 오기가 생기기 시작했어요. 힘들게 ... ...
내가 장난감으로 보이니 - 로보사피엔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걷고, 춤도 추고, 방귀를 끼고 트림까지 하는 로봇 친구가 등장했으니까요.로보사피엔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출신의 과학자 마크 틸튼이 개발한 첨단 장난감 로봇으로 ‘과학기술과 인간성의 결합’을 이룬 장난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올해 초 세상에 나온 이후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답니다. ... ...
'지하철은 훌륭한 이동 연구실'-임지순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전자현미경으로관찰하다가 우연히 가늘고 긴 관 모양의 구조를 발견한 것이죠. 그 뒤로
미국
의 물리학자 스몰리 교수는 여러 가닥의 탄소나노튜브가 다발처럼 묶인 것을 만들어 냈답니다.그럼 임지순 박사님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탄소나노튜브 여러 개를 다발로 묶으면 반도체가 된다는 사실을 ... ...
“꿈을 담아 쏘아 올린 로켓!”-채연석 원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2호
당당히 한몫을 했다는 사실을 증명한 것이었죠. 꿈은 이루어진다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미시시피대학에서 항공우주공학박사 학위를 따고 국내에 돌아온 채연석 원장님은 지금의 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 합류해 로켓 개발에 뛰어 듭니다. 1990년대 초 일찌감치 액체 연료의 ... ...
“자연을 알면 더 사랑하게 돼요!” 최재천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교수님은 모든 것을 처음부터 공부하면서 결국 뛰어난 동물행동학자가 되고야 맙니다.
미국
대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동물행동학 교수로 인정받으면서‘젊은과학자상’을 받았고 국내에서는 동물행동학을 재미있게 다룬 책들을 쓰면서 과학문화를 널리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정말로 ... ...
하늘을 감동시킨 과학자 황우석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19호
24시간 경호를 할 정도로 나라에 중요한 인물로 대우받을 정도랍니다. 얼마 전엔
미국
의 모 연구기관이 제시한 1조원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연구비 지원 제의를 거절해 진정한 국민과학자로 찬사를 받기도했죠. 그런데 이런 놀라운 업적을 이룬 교수님이과학자가 되기로 마음먹은 계기는 의외로 ... ...
하루 사과 한 개로 뇌세포 손상 걱정 끝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사과 하나만 먹으면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코넬대 식품과학과 이창용 교수는 식품과학저널 인터넷판에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이 교수는 쥐의 뇌세포를 채취해 한 그룹은 케르세틴으로, 또 다른 그룹은 비타민 C로 처리한 후 과산화수소에 노출시켜 ... ...
살 빼려면 잠 잘 자라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실천하기 쉬운 다이어트법이 밝혀졌다. 잠을 푹 자는 것.
미국
컬럼비아의대 스티븐 헤임스필드 박사는 1만8천여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체중변화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이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11월 16일 북미비만연구학회 학술회의에서 발표했다.이에 따르면 잠자는 시간이 하루 7~ ... ...
뇌는 바디랭귀지에 민감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파악하는데 바디랭귀지가 얼굴 표정만큼이나 중요한 정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심리학자인 베아트리스 드 겔더 박사팀은 두려울 때, 기쁠 때 등 다양한 상황의 자세를 나타내는 사진 24장을 피험자에게 보여줬다. 이 사진은 얼굴이 뭉개져 표정을 알 수 없다.피험자의 뇌활동을 ... ...
절대음감, 모국어에 따라 결정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음악교육을 시작한
미국
학생들을 비교했더니 중국 학생들의 40%가 절대음감을 가진 반면
미국
학생들은 15%만이 음정을 알아 맞췄다.도이치 박사는 이것이 중국어가 성조언어(tonal language)이기 때문일 것으로 분석했다. 성조언어에서는 단어의 높낮이를 바꾸면 의미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중국어의 ... ...
이전
1027
1028
1029
1030
1031
1032
1033
1034
10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