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이들의 연구 목표는 여전히 단백질 분해에 ATP가 필요한 이유를 규명하는 것이었다.미국에서부터 간세포추출물을 사용해 연구했던 허쉬코 박사는 1977년 미 하버드대 알프레드 골드버그 박사에게 힌트를 얻어 적혈구추출물을 사용해 보기로 했다. 세포 내 소기관인 리소좀 내에는 많은 ...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오늘날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재료와 소자, 기술이 개발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미국 MIT 생물학과의 수잔 린드크스트 교수는 이를 멋진 비유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약 1만년 전, 인류는 식물을 재배하고 동물을 가축화하기 시작했다. 이제는 분자를 길들일 때다.”▼관련기사를 계속 ... ...
- 2156년 올림픽 여자가 남자보다 빠를까과학동아 l2004년 11호
- 남녀 대결은 몇 차례 벌어졌다. 골프에서는 여자 1위 아니카 소렌스탐이 2003년 5월 미국프로골프(PGA)투어의 한 남자 대회에 도전한 이후 공식과 시범 경기에서 여러 선수들이 ‘성대결’ 에 나서고 있다. 박세리 선수는 지난해 한 대회에서 컷 오프에 통과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과는 아직 여자의 ...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단백질을 만들어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필자의 연구팀은 이 기술로 지난 9월 미국특허를 획득했다. 현재까지 연구팀은 탄수화물 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 소화율을 낮추는 피틴산을 분해하는 파이타아제, 항암능력이 있는 엔도스타틴, 콜레스테롤을 분해하는 콜레스테롤 옥시다아제 같은 ... ...
- 2080년 '초강력 태풍' 출현과학동아 l2004년 11호
- 동안의 태풍 경향을 예측한 결과 2080년에는 최대 규모 5.5등급의 태풍이 등장할 것이라고 미국기상학회 전문지인 ‘기후저널’ 에 발표했다.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바다가 따뜻해지기 때문에 태풍의 위력도 더욱 커지는 것이다. 현재 최대 위력의 태풍은 5등급으로 초속 69m 이상의 바람과 5.5m ... ...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과학동아 l2004년 11호
- 것은 물리학자들의 꿈이다.그렇다면 물질의 최소단위는 무엇일까? 쿼크다. 쿼크는 1964년 미국의 물리학자 머레이 겔만이 최초로 그 존재를 주장했고, 겔만은 이 공로를 인정받아 196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그렇다면 쿼크와 글루온을 중성자나 양성자, 중간자로 결합시키는 힘은 무엇일까? 바로 ... ...
- 2004 엽기 노벨상과학동아 l2004년 11호
- 허무 같은 비관적인 분위기가 많이 담겨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현재 미국에서 주 50회 이상 라디오에서 소개되는 브래드 패슬리의 컨트리음악 ‘위스키 자장가’ (Whisky Lullaby)가 자살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후속 연구를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심리학상은 ‘보이지 않는 ...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2001년, 우편으로 전달된 ‘백색가루’ 가 미국 사회를 대혼란에 빠트렸다. 여기에 탄저균이 포함돼 있었기 때문이다. 이 가루를 만진 사람 몇명이 목숨을 잃기도 했지만 그보다는 바이오테러가 현실로 다가왔다는 사실에 공포감이 극에 달한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다소 안심해도 된다. 미량의 ...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있다”고 설명했다.p300을 거짓말 탐지에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초. 1991년 미국의 로렌스 파웰 박사는 p300을 측정해 거짓말이나 범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익숙한 자극(목표자극)에 노출됐을 때 자신도 모르게 뇌파가 발생한다는 원리를 거짓말 탐지에 이용할 수 ...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과학동아 l2004년 11호
- 학회 참가차 외국을 방문했을 때였다. 다른 나라의 과학자들과 담소를 나누던 자리에서 미국과 호주 과학자들이 문 박사가 부럽다고 했다.영문을 몰랐던 문 박사는 “여러 분야 과학자가 함께 모여 한가지 연구를 할 수 있고, 서로의 연구에 대해 다양한 칭찬과 질타가 오가는 한국의 연구여건이 ... ...
이전1032103310341035103610371038103910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