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IHEC, International Human Epigenome Consortium)’이 만들어졌다.우리나라도 2012년부터 질병관리본부
국립
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가 이 과제에 참여해 한국인 주요 만성질환 조직 50종에 대한 후성유전체 정보를 연구하고 있다.조직 식별은 왜 중요한가법의학의 관점에서 조직에 특이적인 DNA 메틸화 패턴을 통해 ... ...
수학과 함께하는 행복한 시간, 2017 수학문화축전
수학동아
l
2017년 08호
수학동아 독자 30명을 매스잼에 초대합니다!강연마다 5명 혹은 10명씩을 따로 선발해
국립
과천과학관까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혜택을 드려요.참가를 원하는 독자는 수학동아 블로그(mathdonga.blog.me)에서 신청해 주세요! 신청방법 수학동아 블로그 공지글에 비밀댓글로 신청! 원하는 강연과 함께 ...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느린 자동차 경기다. 나노카 레이스는 왜 열린 걸까. 나노카 레이스의 주최자인 프랑스
국립
과학연구소 재료정교화및구조연구센터의 크리스찬 요아킴 선임연구원은 “사람들이 분자 모터 및 분자 자동차에 관심을 갖게 하기 위해 경기를 기획했다”고 밝혔다.아직은 분자 모터 및 분자 자동차가 ... ...
[Issue] 스트라디바리우스 280년만의 굴욕 명품 바이올린은 없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훨씬 뛰어난 소리를 낸다고 볼 수는 없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5월 23일자에 실렸다(doi:10.1013/pnas.1619443114).높고 추운 산에서 자란 나무가 부활한 ‘숨 쉬는 악기’어떻게 수십 년간 최정상에 있던 명품 바이올린의 명성을 현대 바이올린이 무너뜨린 것일까. ... ...
[현장취재] 올해도 신나게 지사탐 GO! 지구사랑탐사대 5기 발대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8호
활동을 북돋을 스태프와 우수탐사대원의 발표도 이어졌어요. 지난해 열린 ‘
국립
생태원 환경생태 발표대회’에서 초등부 최우수상을 수상한 현근성근탐험 팀의 이현근(고양 발산중 1), 이성근(고양 오마초 5) 대원은 맹꽁이 탐사 경험을 공유했어요. 벌들의합창 팀의 현준서(여주 상품중 1) 대원도 ... ...
[과학뉴스] 곰팡이 이기는 식물의 비결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식물은 동물과 달리 주변에서 공격을 받아도 물리치거나 도망가지 못한다.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식물이 외부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하 ... 교배해 곰팡이 저항력이 강한 품종을 생산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6월 26일자에 실렸다.doi:10.1073/pnas.170225911 ... ...
[과학뉴스] 장수 정자가 건강한 자손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공동연구팀은 수명이 긴 정자는 수정 성공률이 높고 자손의 생식력도 더 높다고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7월 10일자에 밝혔다. 한 번의 사정에서 나온 정자의 생식력은 같다고 알려져 있던 기존 상식에 반하는 연구 결과다.연구팀은 물고기인 제브라피시(Danio rerio )의 정자 중 오래 사는 정자와 ... ...
[Career] 나의 상상력이 인류의 미래를 좌우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4회째를 맞은
국립
과천과학관의 ‘노벨상을 말하다’ 행사 시리즈가 펼쳐진다. 김선호
국립
과천과학관장 직무대행은 “노벨상의 의미와 기초과학 분야의 가치를 알아보자는 것이 행사의 취지”라며 “궁금한 것을 밝혀내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순수한 학문적 동기를 인정하는 문화가 만들어지길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교수는 키보드에 남겨진 피부 미생물로 개인을 식별할 수 있다는 연구를 2010년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doi:10.1073/pnas.1000162107). 연구팀은 피부에 상주하는 미생물이 개인마다 매우 다르기 때문에 노트북 자판 위에 있는 피부 미생물을 통해 누가 그것을 만졌는지 확인할 수 있을 ... ...
Part 2. 갯바위 층층이 사는 생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물 몇 방울만이라도…! 상부 조간대지구상에 수많은 조간대는 각기 환경이 다르긴 하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해안선을 기준으로 어느 높이인지에 따라 살고 있는 생물 종이 다르다는 것 이지요. 바닷물이 잘 닿지 않는 상부, 규칙적으로 물이 차고 빠지는 중부, 대부분의 시간 동안 물에 잠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